초미세먼지 유기탄소·질산염이온 비중 커
중국 등 국외 배출원 43% 차지 ‘속수무책’
“2020년 저감 1위 차지 안심단계는 아니다”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높이는 주원인이 화석연료 오염물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지역이 2018~2019년 초미세먼지 농도 전국 1위라는 불명예 기록을 작성한 이후 청풍명월(淸風明月)의 고장이란 명성이 흔들린지 오래다. 이런 맥락에서 '도민 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며 초미세먼지 저감대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충북도는 2020년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 전국 1위를 차지했으나 '안심단계'로 볼 수 없다는 자체 해석을 내놓고 5개 분야·30개 사업에 총사업비 3728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내년 3월 차기대선과 연계한 해법론도 흘러나온다.

미세먼지 설명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미세먼지 설명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11일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1년간 청주 오송지역의 초미세먼지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유기탄소(20.4%)와 질산염이온(20.2%)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기탄소는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배출 또는 대기 중 광화학 반응에 의해 2차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이고, 질산염이온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난방시설·열공정산업·자동차 등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연장선상에서 초미세먼지의 발생 경로는 △대기 중 화학반응에 따른 2차 생성(55.6%) △생물성 연소(17.5%) △이동오염원(11.6%) △토양(7.6%) △폐기물 소각(4%) △산업 관련(1.3%) 등의 순이다. 다만 충북 전역이 대상이 아닌 오송지역에 한정된 분석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는 게 충북도보건환경연구원의 부연이다.

충북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앞서 충북지역이 지난 2019년 충북의 연평균 PM2.5 농도 28㎍/㎥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해 2년 연속 초미세먼지(PM2.5) 농도 수위(首位)를 차지한 가운데 국립환경연구원은 △도내 대기오염물질 배출 △분지 지형 △낮은 풍속으로 인한 불리한 대기확산 조건 등이 초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 청주에 산업단지가 9개나 몰려있고 전국의 18%를 차지하는 민간소각시설 6곳에서 1일 1448t 가량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또 제천·단양에 위치한 46개 시멘트, 제철·제강 시설에서는 석회석 분진 등 유해 물질 발생량이 상당하다.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초미세먼지 발생이 국내 배출원을 넘어 국외 배출원이 무려 43%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 우려를 낳고 있다. 충북도가 2016년 3월 발표한 '충북 대기질 개선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를 보면 국내배출원은 57%(충북 자체 배출 30%, 충남 21%, 수도권 6%), 국외배출원은 43%였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교통, 산업, 산림분야 등에서 저감대책을 추진하면 국내배출원은 줄일 수 있는데 국외배출원 문제를 풀 방법이 없어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충북도 등은 중국발(發) 미세먼지 개선이 충북 등 한반도로 연결된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충북지역이 2020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가 1년 전과 비교해 25%나 줄어들어 전국 감소율 1위를 차지했을 때 충북도는 중국의 지속적인 미세먼지 개선 추세 등을 원인으로 꼽은 바 있다. 중국은 2014년 62㎍/㎥에서 2020년 31㎍/㎥로 무려 50%의 저감을 기록했다. 충북의 초미세먼지 농도와 중국이 연관성을 맺고 있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충북도는 매년 초미세먼지 농도가 감소하는 추이(△2015년 30㎍/㎥ △2016년 26㎍/㎥ △2017년 27㎍/㎥ △2018년 19㎍/㎥ △2020년 21㎍/㎥, 세계보건기구 권고 기준 25㎍/m)를 보이고 있지만 '도민 건강권'을 강조하며 예산을 대거 투입해 초미세먼지 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충북도의 저감대책 예산은 △2018년 261억원 △2019년 1496억원 △2020년 1798억원 △2021년 3728억원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차기 대선시즌에서 초미세먼지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시각도 적잖다. 환경문제가 전세계적인 화두인 만큼 여야 대선주자들이 각각의 공약을 제시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충북의 미세먼지 문제가 1~2년 내 해결될 일은 아니다"라며 "여야 대선후보의 지역공약을 통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책을 마련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했다. 일부에서는 중국 등 국외배출원 문제를 풀기 위해선 정부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적극 개진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19대 대선 당시 미세먼지 30% 감축을 공약한 바 있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