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일자리 찾아 떠나는 대전 청년들
上. 청년은 구직난, 기업은 구인난
中. 중앙정부 주도 실효성 낮은 청년 정책
下. 해결책은 양질의 일자리 마련뿐

上. 청년은 구직난, 기업은 구인난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대전의 산업구조는 영세 서비스업 비중이 높고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 등으로 떠나는 청년 인력의 역외유출은 지역 인구 감소를 유발하고 지역의 생산, 소비 주체 감소로 이어진다. 또 지역 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며 지역 경제를 악순환에 빠지게 한다. 본보는 3회에 걸쳐 대전의 청년인력 유출 원인과 중앙정부 위주의 실효성 낮은 청년 정책의 문제를 짚어보고 청년 인력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과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지역 경제의 뼈대가 되어야 할 청년 인력 유출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대전의 영세 서비스업 위주 산업구조에 따라 양질의 일자리가 적고 대규모 인력을 채용할 수 있는 기업들이 부족한 탓으로 분석된다.  

14일 통계청과 대전시의 ‘2020 청년통계’ 등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대전에서 타 시·도로 전출한 청년(15~39세)은 14만 8620명으로 집계됐다. 청년들은 직업(42.9%), 가족(25.6%), 주택(17.1%) 등을 이유로 서울(19.7%)과 세종(18.3%), 경기(17.7%) 순으로 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으로의 전출은 30대 이상에서 주택, 가족문제가 많은 반면 19~29세 청년 인력들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으로 직장을 찾아 떠나고 있다.

대졸자들의 역외 유출도 심각하다. 대전지역 대졸자들이 대전에서 첫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경우는 44.9%(본보 2월 5일 보도)에 그치고 있다. 청년 구직자의 88.6%가 희망근무지로 대전을 꼽고 있지만 절반 가까이는 수도권 등 외지로 유출되고 있는 것이다.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대전시 제공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대전시 제공

이처럼 대전의 청년 인력이 외지로 유출되는 것은 지역의 취약한 산업구조로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전의 전체 사업체 11만 7557개(2018년 기준) 중 고용효과가 큰 제조업체는 8220개(7%)에 불과하다.

반면 서비스업은 8만 6068개(73%)에 이른다. 특히 전체 사업체 중 9만 6788개(81.5%)가 5인 미만 사업장으로 소규모 영세업체가 대부분이고 임금수준도 낮다. 반면 임금, 복지 등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줄 수 있는 100인 이상 사업장은 559개(0.5%)에 불과하다. 

인구 1000명당 사업체 수 78.9는 특광역시 중 최하수준으로 일자리 자체도 부족하다. 실제 대전의 구인배수(신규 구인인원/신규 구직인원)는 0.28(2019년 기준)로 2012년 이후 전국 최저 수준이 계속되고 있다. 

고용 유발효과가 큰 중견·대기업이 적고 양적·질적으로 열악한 일자리문제에 청년들은 구직난을, 중소기업은 구인난을 겪는 미스매치 문제가 계속되는 것이다. 또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39.7%(전국 평균 36.3%)로 광주(40.8%)에 이어 특광역시 중 두번째에 이를만큼 고용환경도 취약하다. 

이처럼 대전의 열악한 고용·취업환경에 심화되는 청년인력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마련이 시급하다. 

류형원 대전세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청년들을 지역 내에 정착시켜 지역경제를 선순환 구조로 이끌기 위해서는 적정한 임금과 워라밸이 수반되는 양질의 일자리 마련이 필수적”이라며 “지자체는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하면서 고용효과가 큰 중견·대기업과 공공기관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