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탓 자립프로그램 진행 불가… 생계유지 위협
5년간 사후관리 유선연락 불과해 시스템 마련 필요

#1. 지난해 생활하던 시설을 떠난 A(21) 양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마련해준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했지만 앞으로의 생활이 막막하다. 지자체에서 매달 30만원씩 지원해주는 자립정착금으로는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울뿐더러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사태 이후 아르바이트 자리는 더욱 바늘구멍이 됐기 때문이다. 국가장학금을 받으며 대학에는 다니고 있지만 부모님의 도움을 받아 생활하는 친구들의 곁에 서면 스스로가 작아지는 기분이다.

#2. 올해 만 18세가 돼 보호종료를 앞두고 있는 B군 또한 낯선 세상에 첫걸음을 떼기가 두렵다. 은행에 가서 통장을 만드는 일부터 각종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동사무소를 방문하는 것까지 모든 것이 생소하기 때문이다. 시설에서 간혹 기업과 연계해 ‘계약서 작성법’ 등 교육을 해주기도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로 거의 운영되지 못한 터라 이제는 하나부터 열까지 홀로 해내야 한다는 두려움이 마음속 깊게 자리하고 있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만 18세가 되면 시설을 떠나야 하는 보호종료 아동들이 ‘코로나’라는 특수상황 앞에 위태로운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자립정착금과 주거지원 통합 서비스 등 국가·지자체 차원의 물적 지원은 늘어났지만 온전히 홀로 자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에는 여전히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

14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올해 자립정착금 지원 예정자는 총 77명이다. 시설 입소 아동이 수시로 바뀌어 변동은 있으나 대전에서 매년 100여명의 보호종료 아동들이 세상 밖으로 걸음을 떼고 있다.

세상에 일찍 발을 딛는 보호종료 아동들은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해 주거가 해결되고 3년간 매달 30만원씩 자립정착금을 지원받더라도 기본 이상의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처지지만 유례없는 경제 위기로 생계 유지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보호종료 아동들의 홀로서기를 돕기 위해 시설에서 운영하는 자립프로그램도 코로나로 대부분 진행되지 못해 막막함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호종료 아동들에 대한 사후 관리 역시 단순 안부 확인에 그치는 등 한계가 여실하다. 지역 아동복지시설·가정위탁지원센터 등에서는 아동들의 보호가 종료된 후 5년 동안 사후 관리를 진행하는데 주로 유선을 통한 연락정도인 탓에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회에 나가더라도 아동 측에서 연락을 끊을 경우에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지역 아동계는 보호종료 아동들이 퇴소 이후 안정적으로 사회에 적응하고 우울감에 빠져들지 않도록 전담인력과 더불어 철저한 사후 관리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신종근 대전아동복지협회장은 “현재로써는 보호종료 아동들이 시설에서 나가는 순간부터 꾸준히 사후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안 돼 있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보호종료 아동들이 시설 밖에서 겪는 애로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코칭해줄 수 있는 전담인력을 배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