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예술의전당, 타 지역 比 규모 작아
종합운동장 건립 예산 1000억원 축소
지방법원·검찰청 설치 사실상 백지화
세종시정발전연구원 설립안도 폐기

[충청투데이 이승동 기자] 행정수도 세종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다. 축소에 축소를 거듭하고 있는 필수 공공기반 시설 프로젝트부터 대전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특정 공공기관 설치 프로젝트까지, 행정수도 위상에 금이가면서다.

가장 먼저 세종의 랜드마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세종 예술의 전당’에 시선이 고정된다.

높고 크게 지은 화려한 집 ‘전당’. 세종 예술의 전당은 내년 3월 1071석 규모 ‘나홀로’ 공연장을 품은 채 초라한 위상을 드러내게된다. 보조공연장은 없다. 전당이라는 수식어를 무색하게 만드는 대목이다.

인근 대전·청주 예술의 전당 규모와 비춰볼때, 그 위상은 볼품없을 지경이다.

청주 예술의 전당은 1493석 규모 대공연장과 296석 규모 소공연장, 710석 규모 아트홀을 품고 있다. 대전 예술의 전당은 300여명이 동시출연 가능한 무대, 오케스트라단원 12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피트, 1546석 규모 대공연장(아트홀)을 자랑한다. 앙상블홀로 불리는 소공연장은 객석 643석을 보유하면서 예술인 150명이 동시 출연할 수 있다. 1000명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원형극장, 100명 수용이 가능한 컨벤션홀은 덤이다.

세종 예술의 전당은 당초 총사업비 857억원, 대공연장 700석, 소공연장 300석 규모로 계획됐다. 한때 대공연장 1200석 확충이라는 반전을 맞기도 했지만 KDI(한국개발연구원)의 경제성 ‘미흡’ 판정이 발목을 잡았다. 이후 건립예산은 대폭 줄었다. 관람객수, 부대시설 등 세부 사업계획 축소, 소공연장 설치계획 파기를 부른 이유로 지목된다.

지역 예술인들은 향후 세종시 위상을 고려한 보조공연장 건립 등 특단의 대안이 마련돼야한다고 조언한다.

시 관계자는 “1000석 규모는 극장 분류상 대극장에 포함된다. 세종시 도시규모에 비춰볼 때 작은 규모는 아니다. 다만 활용도가 높은 소공연장이 없다는 게 아쉽다”면서 “보조공연장을 지을 부지가 남아있다. 아직 논의된 게 없지만 향후 보조공연장 증축을 고려해볼만하다”고 말했다.

필수 기반시설로 분류된 종합운동장 건립 프로젝트 역시 험난한 고비를 맞고 있다. 세종시는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의식해 사업예산 규모를 축소하는 전략을 실행으로 옮긴 상태다. 5000억원 규모(부지매입비, 공사비, 용역비)의 사업비 추정치를 4000억원 규모로 줄이는 게 핵심이다. 이 과정, 운동장 내 상업시설 설치는 포기하기로 했다. 운동장 규모를 최소규모로 축소한 셈이다.

행정수도 위상을 증명할 세종지방법원·검찰청 설치 프로젝트는 사실상 백지화됐다. 세종지방법원 설치 원안이 대전지방법원 세종지원 설치안으로 덮어씌워지면서다.

세종시의 무기력 증에 따른 후순위 과제 전락부터 행정법원 설치 행정력 집중, 세종지원 축소안 추진까지, 각종 꼼수가 세종지방법원 설치판세를 뒤흔든 게 백지화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회세종의사당 설치 등 행정수도 이슈에 묻혀버린 것도 동력상실을 부추겼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은 결국 세종지원 설치를 위한 법원 설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휴지조각이 돼버린 '세종시정발전연구원 설립안’도 주목을 끈다. 이춘희 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한 세종시정연구원 설립안은 지난 2016년 대전세종연구원 체제 구축과 함께 폐기처분됐다.

당시 ‘독자설립이냐 인근지자체 공동연구원 설립이냐’ 세종시정연구원 설립·운영방식 논란 속, 세종시가 상생이라는 이름으로 대전연구원 소속에 세종연구실을 두는 안을 전격 수용하면서다.

시 관계자는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가 가시화되고 있고, 연내 행정수도 3법 처리까지 눈앞에 두고 있다. 행정수도 세종완성을 위한 현안들이 하나씩 결실을 맺고 있다”며 “필수 기반시설 조성과정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행정수도 완성과 연관지을 수는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세종=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