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해 가계대출이 100조 원을 넘어서면서 증가폭이 2004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치를 갈아치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88조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00조5000억 원이나 늘었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2020년 1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서다.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가계부채는 사상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대비 100%를 넘어섰다.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지적을 외면해선 안 된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가 곧장 가계부채로 이어졌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가계나 기업이나 빚으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 닫기 일보 직전의 기업들이 그나마 손을 내밀 곳은 은행의 대출창구다. 가계도 마찬가지다. 실직한 가장, 문을 열어봤자 매출이 거의 없는 자영업자들이 빚으로 연명하는 형국이다. 시중은행에서 자금을 빌리지 못해 사채 등으로 발길을 돌리면 이자부담은 훨씬 더 커진다.

영혼까지 끌어 모아 부동산을 사들이는 '영끌'과 빚을 내 주식투자를 하는 '빚투'는 또 다른 문제다.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은 68조3000억 원이 늘었다. 그 이면에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가 도사리고 있다. 아파트 가격이 폭등하자 더 오르기 전에 집을 사자는 심리가 영끌을 부추기고 있다. 직장인, 주부, 대학생까지 빚을 내 투자하는 주식열풍이다. 이들에게 여윳돈이 생기면 투자하라는 기본이론은 안중에 없다. 주식이 떨어지는 날에는 어떤 상황이 연출될지 모른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가 대출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코로나19 사태가 단기간에 종식되지 않는 한 가계의 대출 수요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저소득층의 대출증가 속도가 가파르다고 한다. 재난지원금은 목을 축이는 정도다. 상환을 제때 못하면 빚으로 빚을 돌려막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금융취약계층을 위한 금융안전망이 긴요한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