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과 충북, 세종을 광역으로 묶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동시에 시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는 보도다. 미세먼지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충청권에서 대전이 빠진 건 미세먼지 발생 경로와 시기 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기 중에 떠있는 미세먼지는 행정구역 기준으로 농도비율을 산출하기 어렵다. 이웃 지자체 기리의 협조가 긴요하다고 하겠다. 서울· 경기·인천이 비상저감조치 광역발령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것도 그래서다.

충남도가 광역체계 도입을 환경부에 제안해 충남·충북·세종 3개 시도가 협의 중이라고 한다. 충남 천안·아산· 서산·당진 등 도내 서북부 기초자치단체는 이미 미세먼지에 공동대응하고 있다. 행정구역을 넘어 이동하는 미세먼지 문제에 대처하고자 '충남 서북부 미세먼지대응 지방정부연대 행정협의회'를 구성한 것이다. 협의회에 참여한 지자체는 미세먼지 대응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시민건강 영향 최소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미세먼지 관리에 머리를 맞대고 있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고 있음에 비춰 충북도와 세종시가 광역체계 도입을 꺼릴 이유가 없다고 본다. 무엇보다 시민의 편의도모 차원에서 광역체계 도입이 요청되고 있다. 비상저감조치가 지자체별로 제각각 시행되면서 주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비상저감조치가 발효되지 않는 충남지역 운전자가 저감조치가 발령된 세종시를 방문했다가 낭패를 보는 식이다.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되면 5등급 차량 운행이 제한된다.

3개 시도가 동시다발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3개 시도 중 2개 시도가 기준을 충족하면 자동으로 3개 지역에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다고 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할 정도로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 감축은 관뿐만 아니라 기업, 시민들이 모두 협조해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이 SK, 삼성, 한화 등 대기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까닭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