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전민영 기자] 정부가 2021년 시행될 ‘디지털 뉴딜’의 세부 사업 계획를 발표했다.
1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2025년까지 총 58조 2000억원(국비 44조 8000억원)을 투자, 약 9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을 목표로 디지털 뉴딜 정책을 실시한다.
올해 투자되는 예산은 총 12조 7000억원이다.
크게 3개 분야로 △D.N.A. 경제구조 고도화 분야에 5조 2000억원 △비대면 기반 확충 분야에 7000억원 △SOC 디지털화 분야 2조 100억원 등 크게 3개 분야로 구분된다.
정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업을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D.N.A. 경제구조 고도화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플랫폼 구성, 5G망 구축 등 정책이 실시된다.

빅데이터 플랫폼 추가개소·운영해 지식 공유와 확산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AI 학습용 데이터’ 150종을 추가 구축하고 공공데이터 4만 4000개를 전면 개방하는 등 공공·민간의 데이터 개방·활용을 촉진한다.
산업현장에 인공지능과 5G 기술을 접목하는 ‘5G·AI 융합 서비스’를 활성화한다.
5G망을 조기에 구축하고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내외의 5G 설비투자 세액공제 및 등록면허세 감면을 실시한다.
비대면기반 확충 분야에서는 의료, 교육의 디지털화를 실시할 전망이다. 초·중·고 및 대학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 시행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원격교육 제도화ㆍ활성화를 위한 기본법 제정, 고성능 Wi-Fi 구축, 최대 8만대의 태블릿 PC 보급 등 정책을 실시한다.
스마트 의료를 구축하기 위해선 호흡기 전담클리닉, 스마트 병원을 구축한다.
어르신을 대상으로 AI·IoT를 활용한 건강관리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의료취약계층의 비대면 자가측정 및 자가진단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SOC 디지털화 분야에서는 교통 인프라 개선, 재난 예방체계 구축을 실시한다.
철도시설 유지관리를 스마트화하고 김포·김해·제주 등 주요공항에 ‘비대면 생체인식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시간 댐·하천 관리, 드론 활용의 산불 진화 등 ‘스마트 재난 예방체계’도 구축한다.
농·수산물의 비대면 직거래도 활성화한다.
정부는 올해 2년차에 접어든 디지털 뉴딜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고 국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전민영 기자 myjeo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