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가 관내에 방치된 빈집 5000여 가구를 찾아내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빈집 활용 방안에 나선다는 보도다. 인구 고령화와 구도심 공동화에 따른 빈집 증가는 지자체의 골칫거리로 등장한지 오래다. 주택난이 심각하다고 하지만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주인을 찾지 못한 빈집이 급증하고 있다. 도가 빈집 조사에 나선 건 빈집의 실태를 파악한 뒤 활용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도는 전국 광역 도 처음으로 빈집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한다.

도가 발굴한 빈집 5532세대를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근거해 등급을 매긴 결과 활용 가능한 1∼2등급 빈집이 3405세대나 됐다. 또 불량 상태인 3등급은 1170세대, 철거 대상인 4등급은 957세대로 나타났다. 3000세대가 넘는 활용 가능한 건축물이 방치돼 있다는 건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방치된 빈집이라도 손길이 닿으면 본래 기능이 가능하다. 귀농·귀촌인의 정착지로 제공하는 것도 그중 하나다.

3~4등급 빈집은 연차적으로 정비·철거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렇게 노후화된 건물은 범죄 장소로 악용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해 각별히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된다. 정비·철거에 막대한 예산이 드는 것도 난제다. 빈집정보시스템에 빈집을 매매·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화하기로 한 건 그래서 의미가 있다. 가뜩이나 농촌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마당에 외지인들이 빈집을 사들여 이주한다면 이것이야말로 이석이조(一石二鳥)라 하겠다.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빈집을 활용하는 구상이 관심을 끈다. 농촌 빈집이라는 게 곳곳에 떨어져있어 쓸모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기대된다.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면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주거취약계층의 주거복지향상에 빈집이 적극 활용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런 면에서 여타 지자체들도 충남도가 도입한 빈집정보시스템을 벤치마킹해 봄직 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