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서비스산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고 대면을 꺼리면서 관련 업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식당이나 주점은 물론이고 피씨방과 노래방 같은 접객서비스업 상당수가 개점휴업 상태다. 건물주를 잘 만난 업소는 그나마 임대료라도 깎아주지만 그렇지 못한 영세업자는 한마디로 죽을 맛이다. 언젠가 나아지겠지 희망을 걸고 버텼지만 다시 찾아온 3차 대유행으로 하루하루가 절망의 연속이다.

충남연구원에 따르면 충남지역 1~3분기 서비스업 손실이 1조 1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가 발생한 지난 2월부터 9월까지 8개월 간 11개 서비스업에서 총 1조 1225억원의 생산 감소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도소매,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부동산, 사업서비스,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문화·기타서비스 등 11개 분야를 대상으로 코로나 발생 전후 생산액 차이를 예측해 분석한 결과다.

서비스업 종사자는 영세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가 많다. 이들 대부분은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들이다. 장사가 안 돼 생계위기에 내몰렸는데 지난달부터 건보료 고지서가 평균 8.6%나 올랐다고 하소연이다. 부과기준 인상에 따른 상승이라지만 적절한지 묻고 싶다. 오히려 사회보험료나 임대료 지원과 같은 현실적이고 세심한 지원책을 내놔야 하는데 말이다.

서비스업 충격은 고스란히 고용 취약계층으로 파급된다는 점에서 우려할만하다. 그동안 묵묵히 방역에 협조해 온 만큼 재확산으로 희망이 꺾이지 않도록 보살펴야 한다. 당장 생존의 기로에 선 영세 소상공인들을 위한 현실적인 민생대책이 시급하다. 3차 재난지원금 예산 편성이 국회를 통과한 만큼 신속한 집행이 요구된다.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지급대상과 규모를 따지며 시간을 끌어서는 안 될 일이다. 취약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서비스업의 중장기적인 회생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