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지방大 고사위기
충북, 경쟁률 매년 큰 폭 하락

[기획] 충북 대학들 “존폐 위기를 극복하라” 
[글 싣는 순서]
(상) 벼랑끝의 대학들
(하) 변화만이 살길이다

[충청투데이 김희도 기자] 학령인구(學齡人口·학교를 다니는 연령인 6~21세 인구) 감소로 대학정원이 고등학생보다 많은 시대가 오고있다. 각 대학들은 학생 유치를 위해 최신 트렌드 학과를 새로 만들고 장학금 제도를 넓히며 대부분의 학생에게 기숙사도 제공하는 등의 학생유치작전을 펴는곳이 많다. 충청투데이는 최근 대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들이 준비하는 대책을 조명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편집자

국내 대학들의 입학 등록률이 매년 줄고있다. 2021학년도는 대학 입학 정원보다 입시 지원자가 적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충북 대학들은 '미달' 사태를 막기 위해 정원모집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충북을 비롯한 지역 대학들의 '존폐' 위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학교육연구소가 지난 7월 발표한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보면 2024학년도 '입학가능인원(고등학교 졸업생 중 대학 진학 의사가 있는 인원, N수생, 기타 경로로 진학하려는 인원)'은 38만 4002명으로 2021년(41만 4126명) 입학정원보다 3만 124명이 줄어든다.

충청권은 △2021년 7만 3750명 △2022년 7만 5434명 △2023년 7만 4027명 △2024년 7만 176명으로 매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충청권 대학들의 정원 미달사태가 도래된 데에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 외에도 지방산업의 쇠퇴, 지방대학에 대한 사회적 차별로 인한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GRDP(지역내총생산)의 51%, 사업체 수의 47%, 취업자 수의 50%, 연구개발투자비의 69%가 수도권에 집중해 있다. 그나마 연구개발은 '수도권', 공장과 생산기능은 '지방'이 맡고 있는 국내 경제시스템 특성상 제조업이 지방사회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으로의 경제산업 전환으로 이 마저 점차 쇠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지방은 위기를 넘어 '소멸'의 대상이 될 것으로 연구소는 내다봤다. 특히 충북은 반도체(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의 경제성장 기여율이 전국의 73.7%에 달하는 만큼 제조업 기반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

이 같은 지방 산업의 쇠퇴는 청년층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임금·취업률·취업의 질·직업과 전공일치 여부 등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수도권 대학으로 몰리는 현상을 빚게 되며, 이는 결국 충북을 포함한 지방 대학들의 위기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지방대학 경쟁률은 7대 1로 수도권(13.6대 1)의 절반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대학들의 수시 지원률도 지난해 대비 모두 하락했다. 충북대학교는 2044명 모집에 1만 6563명이 지원해 8.10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지난해 9.01대 1보다 감소했다. 2002명 모집에 1만 217명이 지원한 청주대학교도 평균 5.13대 1로 지난해 6.80대 1에 비해 하락했다. 한국교원대학교 역시 394명 모집에 1724명이 지원해 4.38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면서 지난해 5.01대 1보다 감소했다.

1482명을 모집한 서원대학교도 9168명이 지원해 6.19대 1을 보이며 지난해 6.61대 1 보다 줄었으며 충북보건과학대학교도 801명을 모집에 3601명이 지원해 4.5대 1의 경쟁률(지난해 5.2대 1)을 나타냈다.

대학교육연구소는 지방에 일자리가 늘어나고 지방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생산한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토대가 마련되지 않는 한 지방대학 위기는 쉽게 극복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희도 기자 huido0216@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