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지사가 "공공기관 이전 목적은 지역의 성장과 발전"이라고 밝혔다. 양 지사는 어제 실국원장 회의에서 "공공기관 이전이 단순히 고용창출과 지역상권 활성화에만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옳은 지적이다. 고용창출, 상권 활성화와 같은 눈앞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큰 틀에서 공공기관 이전을 바라봐야 한다. 이전한 공공기관과 연계한 관련 산업 육성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전·충남이 혁신도시 유치에 나선 이유를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공공기관을 유치하려면 먼저 혁신도시로 지정돼야 한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유치의 필수요건인 셈이다. 하지만 이전 공공기관에 지역 출신 대학생 몇 명을 더 취업시키고자 그토록 매진한 건 아닐 거다. 미래 먹거리를 혁신도시에서 찾아야 한다. 우리지역 혁신도시에 적합한 공공기관은 어느 기관인지, 이들 중 실제 얼마나 유치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하겠다.

대전은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가, 충남은 내포신도시가 혁신도시로 이미 지정됐다. 대전시는 교통, 지식산업, 과학기술과 관련된 23개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꼽고 있다. 충남도는 환경기술, 문화체육 분야 등 18개 기관을 핵심 이전대상기관으로 정하고 물밑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여기서 머물러서는 안 된다. 공공기관과 연계된 기업과 산업을 적극 발굴하고 육성해야 한다. 충남도는 '수소산업 오픈랩 사업'이 선도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수소산업 오픈랩 사업은 지난 9월 산업부 국비지원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향후 27개월 간 49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수소에너지산업은 그린뉴딜과 밀접한 미래 역점 사업이다. 수소경제시대를 충남이 선도할 좋은 기회라고 본다. 대전·충남이 보유한 혁신역량과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질 것이다. 공공기관 유치보다 더 중요한 건 관련 산업 육성에 기반 한 지역의 성장동력 확보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