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인구가 급감하고 고령화가 가파르다. 젊은 층은 도시로 떠나고 농촌을 지키는 인구의 절반은 노인들이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통계로 본 농업의 구조 변화'에 따르면 지난 50년새 농가인구가 85% 감소 했다. 1970년 1442만2000명에서 지난해 224만5000명으로 1200만 명이상 줄었다. 이중 65세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4.9%에서 46.6%로 크게 늘었다. 농촌 인구 두 명 중 한 명은 노인인 셈이다. 이는 우리나라 평균 고령화율(14.9%)에 3배가 넘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105곳이 30년 안에 소멸될 수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내놨다. 충남 15개 시·군 중 10곳(66.7%)과 충북 11개 시·군 중 7곳(63.6%)이 소멸위험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시(市) 단위인 충북 제천이나 충남 공주·보령·논산이 소멸위험진입단계에 포함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근본적인 처방 없인 어느 지자체도 존립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엄중한 경고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초고령 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20%가 초과했을 때를 말한다. 고령 인구가 많아지면 노동력 저하로 생산성은 물론 지역경제 활력도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는 결국 국가 경제 악영향으로 귀결된다. OECD 꼴찌의 출산율과 고령화로 농촌 일손 구하기가 별따기가 된지 오래다.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시설채소나 과수농사를 접어야 할 처지라고 한다. 농어촌 경쟁력을 높이는 산업구조 개편이나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전국 농촌에 살고 있는 유소년(만 14세 이하) 인구가 10만명도 안된다. 향후 이들도 학업이나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날게 뻔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현실을 직시하고 파격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지자체 인구 늘리기가 땜질처방에 그쳐선 안되겠다. 농촌에 살아도 도시보다 안정적인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환경 조성이 먼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