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순국선열의 날이다. 충청도는 윤봉길 의사, 유관순 열사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애국지사를 배출한 자랑스런 고장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부터 목숨 바쳐 나라를 지킨 호국선열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던 뜻 깊은 날이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 당한 치욕을 절대 잊지 말자는 의미로 날짜를 정했다고 한다. 광복 이후 민간단체 주도로 맥을 이어오다 1997년 정부 기념일로 지정했다하니 그 참 뜻을 되새겨야 하겠다.

6.25전쟁 참전 국가유공자 예우와 복리 증진 차원에서 지급하는 명예수당이 지자체마다 제각각이다. 주소지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보니 적게 받는 지역은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한다. 똑같이 목숨 걸고 나라를 위해 헌신했는데 차별 하냐는 원성도 지나치지 않다 하겠다. 실례로 대전에선 월 7만원을 주는데 충남 계룡으로 이사하면 3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공적이나 재산여부와 관계없이 지급되는 수당이다 보니 수령액이 적은 지역 불만은 당연하다.

명예수당은 지자체 재정여건이나 관심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 충남지역은 전국 지자체 중에서 지급액이 비교적 상위권이다. 계룡은 월 30만원으로 국방도시답게 전국 최고액을 지급한다. 나머지 시군은 15만~25만원을 준다, 세종은 10만~15만원을 주는 반면 충북 전 시·군은 월 10만원이다. 대전 5개구도 동일하게 매월 7만원을 지급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한다. 이렇게 지역별로 최대 4배 넘게 편차가 심하다보니 형평성을 제기하기에 충분하다.

해를 거듭할수록 참전 국가유공자가 줄고 있다. 국가보훈처 5월말 기준으로 생존자는 전국에 8만 2000여명 뿐이다. 대부분 고령이고 생산활동이 어려워 생활고를 호소한다. 올해 기준 이등병 월급이 40만원이 넘는다. 목숨 건 수당이 사병 월급만도 못하냐의 호소를 한번쯤 귀 담아 들어야 할 것 이다. 천차만별인 명예 수당도 국가 예산으로 통일해서 주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맞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