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先분기기·後연결선’ 전략
세종시 섣불리 합의 파기 못할 듯
합의번복은 충청권 불협화음 초래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충북선철도 고속화의 속도와 직결된 오송연결선이 정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호축 사업의 핵(核)인 충북선철도 고속화가 자칫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충북도는 '선(先) 분기기·후(後) 연결선'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대전~세종~청주를 잇는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 구축안과 관련해 세종시가 기존 충북선 활용론으로 파기 입장을 내비친 가운데 충북지역 일각에서는 '공문(公文) 우선론'을 펴며 낙관적 시각을 나타낸다. 광역철도 구축안 역시 국가철도망계획 반영이 1차 목표다.

15일 충북도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에 결정되는 국가철도망계획(2021~2030년)에 중부권 동서횡단 철도 등 13건의 사업 반영이 목표다. 최우선은 오송연결선 설치와 조치원~오송~청주도심~오근장(청주국제공항) 노선 등 2건이다.

먼저 충북선철도 고속화(총사업비 1조 2807억원, 대안 반영 시 1조 7055억원)의 속도는 오송연결선, 원주연결선, 충주 삼탄~제천 연박 급곡선 구간 선형개량 등의 반영 여부에 달렸다. 충북선철도 고속화의 '순항' 여부는 이 3가지 사업이 판가름 지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삼탄~연박 구간(6㎞, 1500억원)은 지난 7~8월 집중호우로 인해 직선화의 필요성이 새삼 부각됐고 이에 대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공감하고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까지 청와대 보고에서 필요성을 인정하는 등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 기본계획(11월 또는 연말 수립)에 결국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다. 원주연결선 설치의 경우 오송연결선과 삼탄~연박 구간 직선화 이후 순차적 관점에서 중장기적으로 해결하겠다는 게 충북도의 '복안(腹案)'이다. 목포에서 시작되는 노선은 삼탄~연박, 오송연결선 등을 거쳐 원주연결선에서 강릉으로 이어진다.

문제는 오송연결선(12.6㎞, 4000억원) 설치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한 점이다. 충북도는 11일 지역균형뉴딜 충청권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오송연결선의 필요성·당위성을 역설했다. 막후에서는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이 오롯이 국가균형발전을 담고 있는 점을 적극 설명했다는 전언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일단 '선(先) 분기기·후(後) 연결선'이 충북지역의 목표다. 이를 위해 국가철도망계획 반영을 촉구하고 있다. 오송연결선 설치의 명분을 만들기 위함이다. 반영 시 오송~평택간 2복선 사업 설계에 분기기 설치(550m, 약 220억원)가 포함될 가능성은 높아진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분기기는 연결선 설치 문제를 자연스레 푸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분기기 설치가 연결선을 전제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 구축안과 관련해선 충북도의 조치원~오송~청주도심~오근장(26.7㎞, 1조 4598억원)과 세종시의 세종청사~조치원(14.2㎞, 8657억원) 국철 노선안이 이미 국토부에 각각 건의된 만큼 세종시의 기존 충북선 활용론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충북도와 세종시간 지난달 기존 충북선이 빠진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망 구축에 합의하고 각각 광역철도와 국철 노선안을 정부에 제출한 상황에서 세종시가 자체 자료집에서 충북선 활용론을 명시한 점은 한낱 주장에 그친다는 얘기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공문에 명시된 내용이 우선"이라고 했다. 세종시는 조치원~오송~청주도심~오근장 노선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국토부에 '이견이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적인 해석도 나온다. 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이 향후 ITX 세종역 신설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만큼 세종시가 섣불리 충북도와 합의를 뒤집을 수 없을 것이란 예상이 적잖게 나돈다. 앞서의 정치권 관계자는 "세종시가 먼저 합의를 파기하면 충북도는 어쩔 수 없이 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을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ITX 세종역 신설은 KTX 오송역 승객 감소라는 직격탄으로 연결될 것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충북도는 합의안을 토대로 세종청사~조치원~오송역~상당공원~오근장 노선의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반영을 위해 '총력'을 벌일 계획이다. 그러면서도 세종시의 '진의(眞意)'가 파기일 경우를 대비한 대응책 마련도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4차 국가철도망계획 반영 여부를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충청권 지자체 간 합의 번복에 따른 불협화음을 낼 경우 이는 '김칫국부터 마시는 모양새'가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내놓는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