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가 행정통합 논의를 공식화하고 나섰다. 2022년 7월 특별자치도 완성을 목표로 행정통합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는 대구·경북에 이어 광역자치단체 간 두 번째 짝짓기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지난 7월 대전·세종 통합을 전격 제안한 터라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청주·청원 통합에서 보듯 기초 자치단체끼리의 통합사례는 있지만 광역지자체간 통합은 전무하다. 어느 지역에서 먼저 통합을 이룰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가 어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위한 합의문'에 서명했다. 용역 1년, 검토 6개월을 거친 뒤 공론화위원회를 함께 구성하는 로드맵이 나왔다. 통합논의는 민간중심으로 추진하되 행정은 적극 지원하는 방식이다. 통합 청사 소재지가 행정통합 논의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고, 현재 시청과 도청은 통합 이후에도 기능을 유지하게끔 노력하기로 하는 등의 구체적 사안이 합의문에 담겼다.

광주·전남 통합 논의는 지난 1986년 광주의 직할시 승격으로 전남이 분리된 지 34년만이다. 이용섭 시장이 지난 9월 10일 "광주·전남의 행정통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밝힌 뒤 불과 50여일 만에 통합의 첫발을 띈 것이다. 두 지자체가 통합을 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인구 145만여 명인 광주와 185만여 명인 전남이 합치면 인구 330만 명의 초광역 지자체가 탄생하게 된다.

대구·경북은 인구 500여만 명의 거대 도시를, 부산·울산·경남은 인구 800만 명의 동남권 메가시티를 꿈꾸고 있다. 물론 행정통합 반대여론이 상존하는 등 추진이 순조롭지만은 않을 것이다. 어느 지역이 광역단체 간 최초 통합명패를 달 건가. 대전시가 내세우는 세종시와의 통합명분은 인구 200만 이상 행정수도 중심축 육성이다. 한발 앞선 광주·전남,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추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