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철웅 대전시 문화체육관광국장

올해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비접촉(비대면)' 언택트(Untact)가 새로운 문화의 트렌드가 됐다.

비대면, 언택트 시대는 여행·관광업계, 공연예술계, 스포츠, 서비스업계 등은 큰 타격을 입고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넷 플랫폼'(Internet Platform) 영역이 더욱 성장하며 향후 미래 비즈니스를 위한 시험무대를 제공하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이전의 상황과는 다른 형태로 사회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관객과 호흡하며 함께 상호 감동을 이끌어야 하는 문화예술계는 새로운 공연 방법을 찾아야 하는 시점이 됐다.

이로 인해, 오늘날 공연계에 던져진 화두는, 접촉을 전제로 한 창작, 불특정 다수의 관객과 공간적 밀집을 통한 상호교감으로 행해지던 공연예술이 앞으로 어떻게 진행돼야 하는가이다.

현재는 시대 트렌드에 맞춰 온라인으로 송출하고 그것을 통해 대중과 교감하는 온택트(Ontact) 공연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 시에서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한 초기부터 '온라인 공연'을 펼쳐왔으며,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했다.

하지만 온택트 공연은 현장이 아닌 곳에서 공연예술을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공연현장의 생생한 감동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 관람객 스스로 관심을 갖고 온라인에 접속하지 않으면 일방적인 콘텐츠 송출에 불과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면 온라인 공연을 통해 소통을 이어가기에는 공연출연자 및 관객 모두 완벽한 공연을 느끼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우리 사회에 '코로나 블루'라는 우울 현상을 넘어 '코로나 레드'(분노), '코로나 블랙'(절망, 포기, 좌절, 의욕상실)으로까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신조어가 탄생했다는 것은 수많은 사람들이 이미 공통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사회현상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사회 심리적 요인이 개인과 가정의 문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코로나19로 많은 피해를 본 특수 직업군과 소외계층, 저소득층, 노인빈곤층에게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실제로 각종 통계 자료를 통해서도 그 변화가 확인되고 있다.

이런 시대에 우리의 문화예술정책은 시대적 상황에 알맞은 사회적 소통과 대안을 찾는 것이다. 예술가와 종사자들에게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언택트(Untact) 사회에 필요한 예술활동을 제안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소외되거나 문화예술 사각지대가 없도록 시민들에게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연예술의 대중화와 저변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 시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맞는 공연 택배 서비스 즉, 계층·지역간 문화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찾아가는 공연 일부를 '발코니 콘서트'로 변환하여 추진하고 있다.

발코니 콘서트는 이동형 차량 무대를 통해 비접촉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도 공연의 현장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어 예술가와 관객 모두에게 언택트 시대 대안 공연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 시는 발전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해 언택트 시대에 맞는 맞춤형 공연을 끊임없이 시도할 계획이다. 전반기 공연을 통해 파악한 장단점을 공연에 접목하고, 지역 예술인들과 함께 참여해 지역 예술가와 예술종사자들의 활동 기반을 제공하면서 시민 만족도를 높여나가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나갈 계획이다.

코로나19로 힘들어하는 시민들이 예술을 통해 위안을 받을 수 있는 예술의 근본적 효과가 진가를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코로나19가 만들어낸 언택트(Untact) 사회에 직면해 변화로부터 만들어진 '발코니 콘서트'가 새로운 대안 공연으로, 그리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에게 극복의 힘으로 전해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