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세종시 광역·국철 추진
충청 주요도시 잇는 기틀 마련
대전 반석~세종청사~청주공항
1차 관문 국가 계획 반영 여부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충청권 주요도시를 관통하는 '철도대동맥'을 향한 첫 걸음이 떼어졌다. 최근 충북도와 세종시는 청주와 세종을 잇는 철도망 노선안에 합의하고 정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청주국제공항∼청주시∼오송∼조치원∼세종을 연결하는 게 핵심이다. 특히 이 노선안은 이미 추진되고 있는 대전지하철 1호선을 연장해 대전과 세종을 잇는 대전~세종 광역철도와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즉 궁극적으로 행정수도 완성과 충청권 주요도시를 연결해 충청신수도권 시대를 열겠다는 '기본 계획안'이란 것이다.

13일 충북도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청주시 광역철도와 세종시 국철(경부선 지선)이 동시에 '패키지 사업'으로 추진된다. 충북도는 전날 세종∼조치원 구간은 국철로, 조치원∼청주공항(도심경유) 구간은 광역철도로 각각 분리해 장차 연결하는 '합의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내년 상반기에 결정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이 1차 목표다.

구축 시 세종청사~조치원 14.2㎞ 구간의 세종시 국철은 ITX(도시간 특급열차) 세종역으로 활용되고, 조치원~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29.3㎞) 노선이 담긴 청주시 광역철도는 충청권 광역생활권 형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충북도와 세종시 간 한 발짝씩 양보해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말했다. 앞서 행정중심복합도시청은 기존 충북선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충북도의 청주시 광역철도 주장을 배제했다. 충북~세종~대전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철도 구상안에 제동을 건 것이다. 충북지역은 충북선 이용률이 현저히 낮아 기존선 활용 주장은 의미가 없다는 반론을 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특히 충북도와 세종시 간 합의안을 내놓음에 따라 충청권 철도대동맥론의 '밑그림'이 그려졌다는 평이 주목된다. 훗날 충청권을 광역철도로 잇는 '방향'이 설정됐다는 것이다. 이 노선은 대전 반석~세종청사~내판~조치원~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이다. 도시간 연결을 통한 도시 연담화(連擔化)와 중부권 중심도시 권역을 조성하자는 게 노선안의 지향점이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철도대동맥 실현은 '산 넘어 산'이지만 원대한 구상의 기틀이 마련된 점은 분명하다"고 했다.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인 충남 계룡~대전 신탄진 구간은 오는 2024년 개통 예정이다.

충청권 연결의 첫 관문은 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 여부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발(發)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안이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치원~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 등이 담긴 노선안이 합의안으로 국토부에 건의된 배경에 행정수도 완성안이 작용한 점이 기저에 깔려 있다. 앞서의 정치권 관계자는 "7월 거여(巨與) 민주당이 청와대 등을 통째로 옮기자는 공식 제안을 하면서 '충청신수도권론'이 부각됐고 충청 생활권을 철도로 크게 묶자는 충북지역의 원대한 구상에 힘이 실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행정수도 완성안을 띄워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9월 말 출범한 행정수도 완성 충청권 민·관·정 협의회가 완성 이후를 고려해 충청신수도권 시대의 마중물 역할로 꼽히는 철도대동맥론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완성을 넘어 충청신수도권 시대를 준비하자는 얘기다.

한편 세종시는 지난해 4월 대전지하철 1호선 연장이 '핵'인 대전~세종 광역철도(14㎞) 추진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 구간에 외삼역·금남역·세종터미널역·나성역·정부세종청사역 등 5개역을 신설하겠다는 것이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