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주찬 명예기자
▲ 김주찬 명예기자

최근에 보게 된 영화가 있다. 그 영화는 '아무르'라는 영화다. 영화의 내용은 노부부의 행복한 삶이 갑자기 찾아온 아내의 병에 의해 바뀌게 되고 남편은 자신의 마음과 달리 매일 병세가 악화되는 아내를 돌보는 내용이다. 이렇게 내용만 보면 로맨스이지만 이야기와 이야기 속 자녀의 모습을 보게 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부모님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내가 생각한 것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한다.

영화 속 부부의 자식들은 바쁘다는 이유로 부모님을 잘 찾지 않다가 엄마가 아프기 시작해서야 자주 찾아오며 걱정을 하기 시작한다. 이는 현실과 그리 다르지 않다. 자식들은 나이를 먹고 하나, 둘 부모를 떠나 자신의 인생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남게 된 부모는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중에 가끔씩 자식들이 찾아오거나, 바쁜 자식들을 찾아가 아주 잠깐 동안만 만나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지날수록 자녀는 일하고 가정 때문에 점점 더 바빠지기 시작하고 부모는 늙고 쇠약해지며 병에 걸려 돌아가실 날이 얼마 남지 않게 된다. 자식들은 그때쯤이 되면 바쁜 일들을 놓고서 부모님을 찾아가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후회를 하게 된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얘기를 하고 싶다.

우리는 모두 나이를 많이 먹어도 바쁜 일상을 사는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부모님이 돌아가실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시간을 많이 내는 것처럼 우리는 평소에 시간을 낼 수 있다. 분명 부모님을 생각하고 걱정하며 함께하는 시간이 스스로에게는 힘들 수 있겠지만 부모님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행복을 드릴 수 있고 그 모습을 보는 본인도 행복해질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시간을 많이 보내게 된다면 부모님의 마지막에 후회와 죄송한 마음보다 부모님과 함께한 추억을 떠올리며 사랑과 감사, 존경 마음이 가득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제 마지막으로 '아무르'라는 영화를 보면서 부모님과 부모님을 대하고 있는 '나'의 모습을 떠올리며 내가 얘기한 것과 그 외 부분을 진지하게 생각을 해봤으면 좋겠다. 김주찬 명예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