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행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자가 사상 처음으로 40만명대로 떨어졌다. 출산인구 감소로 학령인구가 해마다 감소하는 가운데 2020년 전국 수능 응시자는 49만3433명으로 집계됐다. 1994년 수능이 도입된 후 역대 최소이며 50만명 이하로 곤두박질 치기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대신 응시자중 졸업생(n수생) 비율은 17년만에 최고 수준이란다. 재학생(70.2%)이나 졸업생(27%) 모두 줄었지만 재학생 감소세가 워낙 크다보니 졸업생 비율이 높아진 셈이다.

2021학년도 수능 응시자는 지난해보다 5만5301명(10.1%) 감소한 수치다. 코로나 장기화로 온라인 수업이 크게 늘면서 재수생이 폭증 할 거라는 예상과 달리 졸업생 응시자도 지난해보다 9202명이나 줄었다. 2011년 71만2227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후 10년만에 21만8794명이나 줄었으니 학령인구 감소를 실감한다. 이 정도면 인구절벽이란 말이 지나치지 않다. 당장 신입생 충원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방대학은 고심이 깊어만 간다.

학령인구 감소로 가장 타격이 큰 쪽은 지방대학이다. 연도별 출산율만 봐도 향후 입학가능 학생수를 가늠할 수 있는 만큼 준비를 게을리 해선 안 된다. 앞으로 4년뒤 지방대학 세곳 중 한곳 충원율이 70%도 못 미칠 것이란 연구결과가 있다. 열곳 중 한곳은 아예 절반도 못 채운다고 하니 대학 구조조정이 코 앞에 닥친 꼴이다. 그렇다고 지방에만 정원감축 희생을 강요해선 절대 안 된다. 수도권 대학도 형평성 있는 감축이 동참해야 옳다.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가 교육현장의 최대 현안이다. 대학은 정원조정이나 학과 개편, 특화된 커리큘럼으로 경쟁력을 높여야만 살아남는다. 의무교육 과정인 초·중·고 학교 통폐합도 심도 있게 추진 중이다. 대입시 자원이 가파르게 감소하는 만큼 지역대학들도 위기의식이 필요하다. 선제적 대책을 마련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