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재난지원금을 빙자하거나 생계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사기까지 등장했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 정도에 속을 수 있겠냐 싶지만 수법이 기상천외하다보니 속아 넘어가기 십상이다. 한가위가 다가오자 택배를 가장해 문자를 보낸 후 궁금증을 유발하고 확인전화를 하면 악성앱이 깔리기도 한다. 보이스피싱이 갈수록 지능화하면서 피해건수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얼마 전 40대 여성이 26억 원대 현금을 털려 1인당 피해액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어느 날 캠핑용품이 집으로 배달될 예정이라는 문자를 받고 전화를 한 것이 화근이었다. 주문하지 않은 용품이 배달된다하면 확인하고 싶은 일반적인 심리를 이용한 것이다. 함정에 걸려들면 단계별 범죄조직이 치밀하게 가동된다. 눈 뜨고 당하니 경천동지(驚天動地)할 일이다. 지난 한해에만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6720억 원에 달한다.

코로나로 어수선한 틈을 탄 사기수법까지 등장했다고 한다. 매출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타킷으로 단전을 알리는 전기료 체납 문자를 발송하는 수법이다. 또는 경영자금 대출이나 재난지원금 지급과 같은 미끼를 살포하기도 한다. 문자를 확인하는 순간 악성 앱이 깔리고 피해자 휴대폰 내부 정보는 고스란히 사기범 대포폰에 복제된다니 무서운 세상이다. 자신도 모르는 새 돈이 인출되는 사기에 속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의심되는 URL(인터넷 주소)은 절대로 클릭해선 안 된다.

보이스 피싱 사고는 사전 예방이 최선이다. 범죄을 뿌리 뽑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도 필요하다. 최근 처벌을 무기 또는 10년 이상으로 강화하고 범죄수익의 10배 이하 벌금을 부과하는 법률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피해자가 주로 자금난에 시달리는 서민이란 점에서 근절해야 할 악질 범죄다. 가담자는 국제 공조를 통해 엄벌하고 진화하는 수법에 대응할 특단의 대책이 강구돼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