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시가 첫 과학부시장에 김명수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을 내정했다. 시는 기존 정무부시장 직제를 과학부시장으로 변경하고 적임자를 물색 중이었다. 시가 과학부시장을 두기로 한 건 다름 아닌 과학기술 분야에 보다 비중을 두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과학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시와 과학부시장 직제는 어울린다. 김 전 원장의 내정 소식에 과학계와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등이 환영의 뜻을 표한 것도 기대감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중요한 건 과학부시장 직제가 아니라 역할이다. 광역자치단체는 각각 행정, 정무 부단체장을 둘 수 있다. 행정 부단체장은 행정 관료 즉 공무원을 임명하는 게 관례나, 정무 부단체장은 선출직 단체장이 소속 정당과 협의해 외부인사를 임명하는 절차를 밟아왔다. 정무 부단체장의 업무 또한 국회, 의회, 언론 등 대외기관과의 협의?소통 창구역에 그친 측면이 있다. 충남도가 문화체육부지사를 부산, 광주, 울산시 등이 경제부시장을 둔 것도 정무직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대전을 명실상부한 과학기술 도시로 육성해야하는 중차대한 업무가 과학부시장에 주어졌다. 대전은 2023년 대덕연구개발특구 출범 50년을 앞두고 진정한 과학도시로 재도약하느냐의 기로에 서있다. 우선은 대덕특구 재창조사업과 첨단과학기술이 지역 혁신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가교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완성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도 긴요하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에 선정된 '스타트업파크'의 안정적 조성 또한 빼놓을 수 없다.

허태정 시장은 "과학부시장은 지역 과학 관련 정책과 일부 산업 부분까지 맡게 될 것"이라며 "아마도 제 임기 동안 과학부시장 역할을 계속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고 피력했다. 내정자에 대한 신뢰를 드러낸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말고 과학분야 행정은 전적으로 과학부시장에 맡길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계 출신 인사가 대전시 첫 과학부시장에 내정됐다. 그에게 거는 기대가 자못 크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