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곳곳에 있는 빈집은 여간 골칫거리가 아니다. 비단 농촌뿐만 아니라 요즘에는 광역시 구도심 지역에도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 슬럼화를 가속화 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충남도 관내 빈집이 2018년 기준 무려 10만 채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충남지역 빈집 현황을 보면 2015년 7만3719채에서 2018년 10만6443채로 급증했다. 1년에 1만 채 가량 증가한 셈이다. 충남의 빈집 증가율은 44.4%로 전국 시·도 중에서도 3번째로 높다.

빈집 증가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농촌지역에서 아기울음 소리가 그친지 오래다.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면서 주인 잃은 집이 늘어나고 있다. 방치된 빈집은 주변에 여러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악취발생으로 민원을 야기하거나 미관을 저해하기 일쑤다. 민가와 떨어진 곳의 빈집은 범죄사각지대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다. 올해처럼 비가 많이 올 때는 붕괴 등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도 상존한다.

지자체마다 빈집정비사업에 나서고 있지만 워낙 빈집이 많다보니 별로 표시가 나지 않는다. 정비 과정도 쉽지 않다. 빈집은 사유재산이어서 소유자의 동의가 없으면 철거가 불가능하다. 소유자가 외지에 있을 경우 소재파악을 하는 데 많은 시일이 소요된다. 빈집 재활용에 따른 예산확보도 관건이다. 따라서 빈집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정비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충남 서산시의 '빈집 함께 써유' 사업은 눈여겨 볼만한 사업이다. 빈집을 철거하고 주차장과 같은 시민 편의시설을 조성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빈집을 리모델링해 취약계층에게 무상 임대하는 시책도 벌일 예정이라고 한다. 대전시 중구는 빈집을 헌 자리에 마을텃밭, 마을쉼터 등을 꾸며 주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주민 수요에 부응하는 공간으로 탈바꿈 한 사례다. 활용여하에 따라 빈집도 부가가치를 얼마든지 높일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