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공감신문]
우리나라 고유명절 ‘추석’… 수입 아닌 우리농산물로 차례 준비해야
코로나19 종식으로 어려운 이웃과 사랑 가득한 명절 보낼 수 있길

우리나라의 고유명절인 추석이 다가온다.

추석은 다른 말로 ‘한가위’라고도 부르는데, ‘한’이라는 말은 ‘크다’는 뜻이며,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이다. 음력 8월 15일은 보름달 중에서도 수확의 기쁨을 맞이하는 주요한 달이기에 한가위라고 한 것이다. 또한 추석은 가을철 중간달에 해당하므로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곡백과가 무르 익어가는 들녘을 바라보는 마음이 중추절은 필경 아름다운 계절이기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고 했을 것이다.

우리 민족의 4대 명절(설날, 한식, 단오, 추석)중 추석은 아직도 가장 큰 명절이다. 해마다 치르는 민족 대이동이 이제 또 얼마 남지 않았다.

도대체 무슨 연유로 극심한 교통체증도 감수해 가며 귀향길에 오르는 것일까? 이는 아마도 귀소(歸巢) 본능이 아닐까. 조상을 추모하는 차례(茶禮)를 중심으로 부모님을 찾아뵙고, 친척, 친구들을 만나고 누구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잊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수천 년 전부터 미풍양속으로 전해져 온 추석명절은 조상에 대한 차례를 올리는 행사로부터 시작된다. 추요절의 차례는 제사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제사라는 것은 축문(祝文)을 읽고 삼헌(三獻)의 예를 갖춘 의례를 말하며 ‘주자가례’에서 전하는 차례(茶禮)의식을 간략하게 설명해 본다.

추석 차례(茶禮)는 제사가 아니고 차례(茶禮)로 조상님께 예를 올리는 것이다. 밥과 국(飯羹)을 올리지 않고 햇곡식으로 만든 송편을 올리고, 햇과일(삼사실과)로 간단하게 차례상을 준비해 무축단배(無祝單拜) 즉, 축문 없이 한잔 술을 올린다. 참례자의 복장은 정장이 원칙이나 차례는 화려한 옷을 입어도 된다.

추석에 차례를 제사로 잘못알고 과다한 음식준비로 고부간에 갈등과 추석 증후군으로 심지어는 이혼까지 한다고 하는데 이는 차례의 의례을 잘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예법이 집집마다 각자 달라 가례를 가가례라 하지만 차례는 차를 한잔 간단하게 올린다는 개념으로 많은 음식 준비보다는 정성이 중요한 것이다. 특히 요즈음 젊은 층들이 잘 모르고 비싼 수입농산물을 차례상에 올리는데 우리 농산물로 차례를 올리는 것이 올바른 정성이라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오랫동안 달을 사랑했고, 달을 숭배했다. 계명동덕(繼明同德)하기를 달을 향해 소원했고, 시화년풍(時和年豊)하고 국태민안(國泰民安)하기를 달을 우러러 보며 천번만번 빌고 빌었다.

올 추석에는 달님에게 코로나19가 하루빨리 종식되고 국가가 안정되기를 두 손 모아 빌며 사랑과 나눔으로 어려운 이웃과 함께 즐거운 명절이 되길 소원한다.

김찬집 명예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