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자치단체들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생계를 고려해 일부 고위험시설에 대해 완화조치에 들어갔다. 그동안 코로나 장기화로 생계가 막막한 업주들이 연일 지자체를 항의 방문하는 등 생존권 요구 목소리가 거셌다. 문을 닫아야 했던 집합금지 대상에서 제한으로 푼 것은 천만다행이다. 폐업 직전까지 간 업주들의 현실을 반영한 적절한 조처로 판단된다.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를 전제로 한 만큼 한 치의 빈틈도 없어야겠다.

지역 내 집단 감염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어 긴장을 풀어선 안 된다. 중·노년층 감염자가 많은 방문 판매시설이나 요양원이 대표적인 예다. 소모임이나 다중이용시설도 n차 추가 확진자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설마 하면 번지는 게 감염병 바이러스다. 한번 뚫리면 인적피해는 물론 지역경제 피해가 막대하다. 집합금지 명령이 반복되지 않도록 이참에 각오를 새롭게 해야겠다. 업주는 물론 시민들의 방역 협조와 실천이 절실한 시점이다.

전국 신규 확진자가 12일째 100명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긴장의 끈을 놓을 때가 아니다. 어제까지 대전 건강식품설명회 관련 누적 확진자가 57명에 달한다. 청양 김치공장 누적 확진자도 29명까지 늘었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고 생각하면 조마조마하다. 코로나 장기화가 몰고 온 국민 스트레스 또한 극심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울증이나 자해 진료 건수가 지난해보다 35.9% 늘었다고 한다.

위험부담을 무릅쓰고 고위험시설에 완화조치를 취한 만큼 방역수칙 준수가 필수다. 간혹 발열체크나 명부작성에 소홀한 업소를 보면 불안하기 짝이 없다. 코로나와 무관한 나라로 여겨질 정도로 손님이 북적이지만 칸막이조차 없는 음식점도 매한가지다. 인원 제한이나 테이블 간격 유지가 제대로 지켜지길 바란다.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는 방심이 더 큰 화를 부를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