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완성' 갈등 최소화…지자체 공조해야
국토부 광역도시계획에 거점도시별 기능 담겨
대전 과학기술·충북 첨단지식기반산업 등 중요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충청권 지자체간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있다. 

대전·세종·충북·충남의 충청권 4개 광역시·도는 행정수도 이전을 놓고 외형상으론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내막을 들춰보면 세종시로의 인구 유입, 각종 인프라 구축 등의 갈등요소가 여전히 팽배하다. 

충청권이 주축이 돼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행정수도 완성을 이끌기 위해선, 행복도시 광역도시권에 속한 지자체들이 각자의 역할론에 충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행복도시 광역도시권의 역할론은 국토교통부가 2007년 6월 수립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에 일정부분 담겼다.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대전시, 충남도 연기군(현 세종시), 공주시, 계룡시, 천안시 일부, 충북 청주시, 청원군(현 청주시), 진천군, 증평군이 속한다. 

사진 = 세종시 국회의사당 이전 후보지. 연합뉴스
사진 = 세종시 국회의사당 이전 후보지. 연합뉴스

광역계획권은 5개 거점도시를 두고 있다. 각각의 기능을 보면 행정도시·세종시는 중앙행정, 국제교류, 문화, 지식산업 기능 위주의 개발이 담겼다.  

대전·계룡시는 핵심적 배후도시로써 군사, 국방, 과학기술 R&D 등 도시 서비스 지원 기능을 담당한다.

청주시는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오송생명과학단지를 중심으로 첨단지식기반산업 벨트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명시됐다. 

공주시는 풍부한 문화·역사 자원을 활용해 광역적 문화거점으로 개발되며, 진천·증평군은 동북부 거점지역으로 강원권 및 충북내륙권 방향 개발축과 연결하는 교통의 축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거점도시별 기능분담이 이행돼야만 행복도시 광역도시망이 구축되는 것이다.

하지만 행복도시 성장과정에서 지자체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KTX 세종역을 비롯해 각종 인프라 사업 유치전이 진행될 때마다 지자체별 성과주의가 앞서고 있다. 

이 가운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주축이 되는 '행복도시권 광역상생발전정책협의회’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정책협의회는 행복청장을 위원장으로 국무조정실 세종시지원단장, 충청권 광역 시·도 부단체장의 위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경제산업·문화관광·광역교통 등 분야별 현안사항을 조정하고 있다. 

해당 기구가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향후 행정수도를 이끌 수 있는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충청권은 현재 세종시=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각각의 실익을 떠나 하나로 뭉쳐야 할 때”라며 “지자체별 지리적 특성에 맞춘 도시개발을 이끌어 행정수도의 무대가 충청권 전역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시대를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