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청주~청주공항 광역철도 그려
중부권 중심도시권역 ‘철도대동맥’ 필수
충북·세종·대전 등 이달초 ‘노선안’ 확정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행정수도 완성론이 충청권 주요도시인 대전~세종~청주 간 광역철도망 구축의 '대의명분(大義名分)'을 차고 넘치게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발(發) 청와대와 정부, 국회의 세종시 이전 제안이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 2단계 구간 계획작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충북도 노선안(案)의 핵인 청주도심 경유~청주국제공항이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장차 청주공항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관문 공항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로·철도망을 미리 갖출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31일 충북도와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충북도, 세종시, 대전시 등 3개 시도는 이달 초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할 최종 노선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앞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대전지하철 1호선 연장이 시작점인 반석~세종청사 구간만 노선으로 주장했으나 최근 들어 3개 시·도 합의안에 따르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등 통째로 권부(權府)를 옮기는 행정수도 완성론이 행복청의 시각을 바꿔 놓은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는다. 행정수도 완성 이후 충청신수도권 시대를 열어 젖히는 하나의 매개체로 이른바 충청권 '철도 대동맥'은 필수적이라는 게 충북도의 판단이다. 충청권이 중부권 중심도시권역으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세종~청주 즉 대전 반석~세종청사~내판~조치원~오송~청주도심(가칭 상당공원역 등)~청주공항을 광역철도로 연결하자는 게 충북도 안(案)이다. 3개 시·도가 합의에 다다른 시점이라는 귀띔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는 충북도가 주장하는 청주 도심통과 노선에 합의했고 대전시 역시 행정수도 완성론이 급부상하면서 충북 안(案)으로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충북도는 행정수도가 완성되면 청주공항이 자연스레 관문공항 역할을 맡게 된다며 대전시와 세종시를 설명·설득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2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산된다.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거대화두'가 충청권을 철도로 한데 묶자는 '철도 대동맥론'에 탄력을 붙이는 것으로 보인다.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인 충남 계룡~대전 신탄진 구간은 오는 2024년 개통 예정이다.

앞서의 정치권 관계자는 "행정수도 완성에 전력을 쏟으면서 그 이후까지 내다봐야 한다"고 했고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청주도심~청주공항 노선을 포함하는 중전철 사업은 '원대하다'는 표현 밖에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3개 시·도 합의 노선안을 놓고 공청회 등 종합검토를 거쳐 내년 1월에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 여부를 공표할 예정이다.

청주공항이 향후 행정수도 관문공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1단계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재정사업평가위를 열고 세종시∼청주공항 연결 도로 사업을 내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충북 청주시 옥산면 신촌교차로에서 청주공항까지 14.3㎞를 연결하는 것으로 2024년 착공해 2027년 완공이 목표다. 총사업비는 2120억원이 추산된다. 기재부는 세계의 행정도시 중 관문공항 연결도로가 없는 곳은 세종시가 유일하다며 예타 대상으로 선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민주당 8·29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이낙연 신임 대표(서울 종로)와 최고위원 선거에서 득표수 1위를 기록한 김종민 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 등 새 지도부가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행정수도 완성에 얼마나 힘을 실을지 주목된다. 앞서 김태년 원내대표(경기 성남 수정)가 7월 20일 국회 교섭단체 원내대표 연설에서 청와대와 정부, 국회의 세종시 이전을 제안한 이후 '코로나19'와 행정수도 이슈는 현재진행형으로 정국을 뒤덮고 있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