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예년보다 긴 장마와 집중호우로 전국이 물난리를 겪고 있다. 산사태나 제방 붕괴로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가옥이나 농경지 침수로 재산피해도 엄청나다. 기상이변이라 할 정도로 많은 양의 비가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도 많다. 강원도 철원엔 열흘 동안 1000㎜ 가까운 기록적인 비를 뿌리기도 했다. 1년치 강수량을 훨씬 뛰어넘는 양이다. 중국이나 일본도 폭우피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천재지변인 만큼 대비책 중요성을 새삼 느낀다.

충북 충주시 엄정면 직동마을은 하루 200㎜ 폭우에도 피해가 없었던 것은 사방댐 덕분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집중호우에 버티지 못한 저수지 둑이 무너져 농경지가 급류에 매몰됐지만 마을이 비교적 무사했던 건 뒷산 사방댐 덕분이라는 얘기다. 사방댐이 돌이나 흙의 휩쓸림을 막고 유속을 늦추지 않았다면 화를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전언이다. 사방댐은 산속 계곡에 인공적으로 설치한 소규모 댐인데 산사태 예방엔 이보다 효자가 없다.

박완주 국회의원이 산림청서 받은 2018년 자료를 보면 2012년 390곳이던 산사태 취약지역이 2017년엔 2만 4124곳으로 61배가 급증했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산사태 피해면적도 2304ha에 달한다. 기후환경 변화로 예측하지 못한 산사태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산사태 취약지역 중 사방댐 설치율은 47%에 불과하다. 현재 충청권 사방댐은 충북 768개, 충남 541개, 대전 49개가 있다.

사방댐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사회간접자본시설이다. 산사태를 대비할 좋은 방도임에도 예산타령으로 미뤄진다면 국민 생명이 위협받는 꼴이다. 옛말에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는다는 말처럼 선후(先後)를 잘못 간파하거나 때를 놓치면 몇 곱절 더 많은 대가를 치르게 된다. 자연재해도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예방하고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사방댐 예산을 해마다 줄일 일이 아니라 대폭 늘려야 함이 마땅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