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최악의 물난리로 50여명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고 7000여명이 삶의 터전을 잃는 등 폭우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재민 가운데 2000여명은 아직 귀가를 하지 못한 채 임시대피시설에서 지내고 있다고 한다. 충청지역은 충북과 충남의 피해가 크다. 충북에서는 소하천 264건을 비롯해 도로·교량 253건, 농경지 2532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건물피해도 800건을 넘는다. 충남지역은 공공시설 1800여 곳이 파손되고, 주택·농경지 등 사유시설 9700곳이 침수피해를 입었다.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복구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막대한 복구비용 탓에 애를 태우고 있다고 한다. 충북도의 11일 오전 0시 기준 시설물 피해액은 1509억7000만원이나 된다. 전날보다 181억7500만원 늘어날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충남도는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1만 여 곳이 수해를 입어 1287억 원의 복구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대전과 세종지역의 폭우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게 그나마 다행이다.

수해복구를 제때 하려면 재원이 필요한데 문제는 재난관리기금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점이다. 재난관리기금은 재난에 소요되는 비용을 매년 적립해 두는 법정 의무 금액이다. 충청권 자치단체들도 재난관리기금을 적립해 두었으나 코로나19사태가 발생하면서 상당액을 이미 지출한 상태다. 대전시의 경우 연초 까지 만해도 1350억 원의 재난관리기금을 확보해놨으나 현재 사용 가능액은 80억 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충남도 역시 재난관리기금 411억원을 코로나19 비용으로 지출해 현재는 74억 원 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예산 때문에 수해복구 작업이 지연되는 일은 없어야겠다. 단기간에 수백, 수천억 원의 복구비용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최대한 가용재원을 확보해야 한다. 각계의 성금도 요청된다. 정부도 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을 감안해 복구비용을 과감히 지원해주었으면 한다. 재난관리기금은 감염병에 활용할 수 없으나 부득이 코로나19 지원에 쓰였음을 모를 리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