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이 어제 공개한 '혁신도시 15년의 성과평가와 미래발전 전략'은 대전·충남혁신도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연구에서 혁신도시 건설이 수도권 인구 분산 효과를 일부 가져왔지만 지역의 성장거점 기능을 수행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전국 10개 혁신도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혁신도시 건설을 앞두고 있는 대전·충남이 새겨야 할 부분이 많다.

혁신도시가 지역에 인구와 기업 입주를 유인하면서 성장 단계에 있다는 긍정적 분석이 나왔다. 혁신도시 건설의 취지는 두말할 필요도 없이 국토균형발전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지역으로 이전했다. 공공기관 이전은 기업입주 유인효과를 가져왔다. 1704개 기업이 신규 입주해 11만4867개의 일자를 창출했다고 한다. 지난해 말 현재 혁신도시 인구는 20만4000여명이다. 부산 혁신도시 인구는 7522명으로 벌써 계획인구 대비 107.5%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혁신도시가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기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냉철히 지적했다. 형평성 원칙에 따라 공공기관을 고르게 배치하다보니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려면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나 그러질 못했다고 한다.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달성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대목은 뼈아프게 다가온다. 정주여건에 대한 만족도도 그리 높지 않았다.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되돌아 볼 부분이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지난달 국토교통부에 혁신도시 지정 신청서를 내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대전은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 충남은 내포신도시가 혁신도시 후보지다. 심의 절차를 거쳐 올해 안에 지정 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이제 혁신도시 지정 이후를 설계해야 한다. 기존 혁신도시가 안고 있는 장단점을 면밀히 주시해야한다. 예컨대 경남혁신도시는 기업을 가장 많이 유치(434개)했고, 전북혁신도시는 일자리가 제일 많이 증가(2만1874개)한 곳으로 꼽힌다. 벤치마킹할 게 한둘이 아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