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上. 연구개발특구 新모델 ‘강소특구’ 본격화
中. 강소특구 출범…대덕특구와 시너지 ‘관건’
下. ‘충청권 연구개발특구 플랫폼’ 구축돼야

[충청권 연구개발특구 시대 열렸다]
충청권 중심에 대덕특구 위치
인접지역 교류 강점으로 작용
사업발굴 위한 연계협력 강조
연구개발특구협의회 발족제안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충남 천안·아산과 충북 청주 오송 그리고 대전을 잇는 ‘충청권 연구개발특구 플랫폼’ 구축에 지자체간 협력이 요구된다.

천안·아산의 자동차부품과 청주의 스마트IT부품·시스템 산업 기반을 대덕특구와 연계해 충청권 전체의 시너지 확장이 필요하다.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는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는 취지지만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선 결국 행정구역을 벗어나 인접지역간 상호교류가 이뤄져야 한다.

강소특구 지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충청권 미래 먹거리 발굴 차원에서 지자체와 정치권의 협력이 무엇보다 강조되는 이유다.

충남도는 한국자동차연구원을 중심으로 천안·아산 일원에 미래형 ICT 융복합 자동차 부품 특화단지를 조성 할 계획이다.

지난 27일 제2차 강소특구 지정 발표 당일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충청권 연구개발특구 연계 협력안에 깊이 공감하며 논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이날 양 지사는 “연구개발특구와 관련해 충남도와 충북도 그리고 대전시 간 공통된 목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설득력 있는 의제”라며 “대덕특구 인프라와 충남의 자동차산업, 충북의 스마트 IT부품, 시스템 산업은 긴밀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이어 “충청권이 연계해서 연구개발특구의 산업화 시너지 창출은 매우 적절한 의견”이라며 “추후 심도있게 논의하고 검토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 역시 강소특구 지정 이후 충청권이 함께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발굴해야 한다며 연계 협력을 강조했다.

인접 지역일수록 교류가 수월할 수밖에 없는데 충청권은 특히 그 중심에 대덕특구가 위치해 있다는 부분이 강점으로 작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충남 천안·아산의 강소특구 연구용역을 진행했던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단 박사는 3개 시·도지사가 ‘충청권 연구개발특구협의회’를 발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를 위해선 대전시가 지금보다 훨씬 많은 역할을 해줘야 한다. 대덕특구가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심으로 R&D 기술을 생산하는 국가혁신체제라면 사업화 측면에서 시·도간 협력은 결코 쉽지 않은 문제”라며 “그간은 공통된 비전을 수립할 명분도 사업도 없었는데 강소특구가 지정됨으로써 충청권이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사업 발굴의 기회가 열렸다”고 제시했다.

이어 “사업예산의 절반은 국가에서 나머지는 충청권 지자체가 매칭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시스템적인 플랫폼 구축이 중장기적으로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끝>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