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특구 안정화 위한 노력해야
시간·인적·물적인프라 등 절실
대덕특구 역할 중요… 상생해야
기존 기술력 전국 파급 기대감

[글 싣는 순서]
上.연구개발특구 新모델 ‘강소특구’ 본격화
中.강소특구 출범…대덕특구와 시너지 ‘관건’
下.‘충청권 연구개발특구 플랫폼’ 구축돼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제2차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지정이 완료되며 대덕을 비롯한 기존 연구개발특구와의 상생방안 마련이 관건이 되고 있다.

국가혁신체제인 기존 특구와 지역혁신체제인 강소특구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면 지역경제는 물론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강소특구가 첫 출범할 때만 해도 대덕특구의 위상 약화 및 기능 분산 등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했던 것이 사실이다. 

당초 국내 연구개발특구는 대전뿐이었고, 국가 R&D 중심에는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있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대덕특구에 집중돼 출범 50여년 간 막대한 국가R&D예산이 투입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다 2011년 광주와 대구에, 그 이듬해 부산에, 2015년 전북까지 광역 거점별로 연구개발특구가 추가 지정되더니 이제는 기초지자체를 중심으로 전국 17곳에 강소특구까지 지정 중이다.

대덕특구가 위치한 과학도시 대전에서는 충분히 제기할 수 있는 우려였다. 물론 거점별로 특구를 추가 지정한 것 역시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주변 지역과의 연계협력으로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신규 지정된6개 연구개발 강소특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신규 지정된6개 연구개발 강소특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하지만 기대만큼의 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생산성 하락’, ‘산학연 협력 부족’, ‘중앙정부 중심’의 위기를 타계할 카드로 꺼내 놓은 것이 바로 강소특구다. 다만 강소특구의 클러스터 안정화 단계까지는 긴 시간과 다양한 인적, 물적 인프라가 필요하다. 또 지역이 지닌 기술핵심기관의 인프라만 갖고는 기술사업화 단계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 힘든 것도 현실이다.

기존 특구 지역과 강소특구 지역이 분리되는 것이 아닌 유기적 협력 체제를 공고히 해야 할 중요한 관계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대전뿐 만 아니라 광주(전남 나주), 대구(경북 구미·포항), 부산(경남 울산·김해·진주·창원), 전북(군산) 특구 역시 각각 인접 지역의 강소특구와 상생할 시너지 방안을 찾아야만 한다. 무엇보다 대덕특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전국 특구에 없는 공공기술을 연구개발특구의 본원인 대덕특구에서 뒷받침 해주며 강소특구의 클러스터 성장단계를 도모하는 것이, 오히려 대덕특구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기업연구단 박사는 “기술사업화 측면에서 봤을 때 장기적으로 강소특구 그 지역에 한정되기 보다는 전국단위, 그리고 인접 지역을 우선해 파생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며 “그간 대덕을 중심으로 각 지역 특구에 없는 기술을 교류해 왔는데 쌍방 간 연계협력이라기 보다 일방적이라는 느낌이 강했기 때문에 시너지도 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소특구 출범 이후 단기적으로는 국가 전체의 대덕특구 R&D 예산이나 자원이 약화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생산기반이 약한 대전을 비롯해 전국 강소특구를 대상으로 시장이 확대될 수 있어 이를 잘 연계한다면 오히려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