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연구개발특구 시대 열렸다]
지난해 출범…연구개발특구 보완, 양적요건 탈피하고 지자체 주체
기술핵심기관 지정 책임감 부여…지역 특화산업 양적·질적 성장
6개특구 1년만에 민간투자 97억, 천안·아산 합류…시너지 기대감

[글 싣는 순서]
上.연구개발특구 新모델 ‘강소특구’ 본격화
中.강소특구 출범…대덕특구와 시너지 ‘관건’
下.‘충청권 연구개발특구 플랫폼’ 구축돼야

‘작지만 강하다’, ‘양보다 질이다‘, ‘실속있다’, ‘작은 고추가 맵다’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가 지향하는 핵심 가치를 가장 잘 함축해 놓은 표현들이다. 강소특구는 잠재력 있는 기초지자체의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극대화 시켜 지역이 스스로도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특’별하게 지정된 ‘구’역을 뜻한다. 최근 강소특구 대열에 충남 천안·아산이 합류하며 대전, 충북을 잇는 ‘충청권 연구개발특구 시대’가 포문을 열게 됐다. 충청투데이는 강소특구의 조기정착 유도를 위해 연구개발특구간 연계 협력 방안과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기초지자체의 혁신 성장 마중물이 될 강소특구는 국가균형발전의 한 축으로 지난해 첫 출범했다.

비대해진 수도권과 광역자치단체 중심의 R&D 기능을 기초지자체로 분산시켜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 2018년 7월 관련 법이 도입됐다. 사실 강소특구는 기존 대덕특구를 비롯한 5개 연구개발특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작됐다. 대학 3개, 출연 3개, 연구소 40개라는 양적 요건을 과감하게 탈피하고 육성 주체도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전환했다.

그간 기존 연구개발특구의 과학기술역량은 질적 성장의 한계를 보여 왔고, 중앙 정부 주도 아래 국가 예산이 소재 지역에 파생되지 못하면서 산·학·연 협력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됐다.

이에 반해 강소특구는 규모는 작지만 특정 기술핵심기관들이 처음부터 정해진 상태로 지정되기 때문에 보다 책임감 있는 파트너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지난해 1차 지정된 충북 청주를 비롯한 6개 강소특구는 출범 1년 만에 연구소기업 32개사 신규 설립, 97억원 규모 민간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했다.

더불어 특화분야 중심으로 지역 산업구조 재편 등 양적·질적 성장을 동시에 이루고 있다.

충북도 역시 청주 오창과학산업단지 일원에 충북대가 주축이 돼 스마트 정보기술(IT) 미래기술을 기반으로 강소특구 육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다만 단계적 성장을 위해선 연구와 생산 기능이 균형을 이뤄야 하며 이를 위해선 마케팅부터 실증, 판로 확보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또 강소특구의 조기 안착과 지역 상생을 위해서라도 핵심기술기관이 갖고 있지 못한 인프라를 기존 연구개발특구 자원과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관계자는 “강소특구 지정 목적은 결국 지역 생태계 조성이다. 단순히 특구로 묶어 놓고 행·재정 지원을 한다고 해서 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핵심기관의 연구 인프라, 기업의 생산능력, 시장성, 판로 모든 것이 어우러질 때 지역이 자생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