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 대전복지재단 대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 대응으로 한풀 꺾였던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고 있다. 복지관을 비롯한 이용시설들이 휴관을 하고 생활시설은 예방적 격리에 들어갔다.

지역사회의 노인과 장애인은 자택에 시설이용인들과 종사자들은 시설에 사실상 갇힌 상태가 되었다.

지역복지기관의 서비스 덕분에 간신히 유지하던 일상이 무너지면서 돌보는 사람도 돌봄을 받는 사람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돌봄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서비스로 휴먼서비스라고 일컫는다.

포스트코로나 대응방안으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이른바 언택트 기술은 자신의 일상을 혼자서 꾸려나갈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쓸모가 있으나 상시적인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대부분 무용지물이다.

“문 닫은 복지관… 배보다 사람이 고프네요”라는 제목의 7월 7일자 충청투데이 기사가 잘 보여주듯이 복지관 식당은 어르신들에게 허기를 채우는 곳 이상의 장소다.

지역복지기관들은 도시락을 배달하고 온라인으로 소식을 전하는 등 돌봄이 끊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만남에 대한 허기를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다.

무엇보다도 서비스 집단의 규모를 줄이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이동거리와 접촉면을 줄여야 한다.

아울러 운영이 중단된 돌봄서비스 기관의 기능을 가족이 전부 떠안지 않도록 돌봄의 주체를 다양화해야 한다.

이를 위한 대안이 마을돌봄이다.

어르신이 대규모 복지관 경로식당이 아니라 동네사람들이 모이는 작은 마을부엌에서 점심을 드실 수 있어야 한다.

집 근처 마을공간에서 서너 명이 널찍하게 앉아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마을에서 함께 사는 요양보호사나 이웃에게서 일상의 돌봄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부지불식간에 일어나는 감염의 공포를 줄이면서도 필요한 돌봄을 받으실 수 있다.

정부의 제도화 노력과 지역복지기관 돌봄 종사자들의 헌신으로 우리나라의 사회서비스는 비약적으로 확대됐다.

돌봄이 필요했던 많은 이웃들을 생활시설과 지역사회복지시설들이 보살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복지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을 전면적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대형시설·대집단 위주의 돌봄은 시효가 다했다.

거주의 공간과 돌봄의 공간을 나누고 돌보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을 나누는 경직된 돌봄체계도 그렇다. 이제 마을 안에서 돌봄이 일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마을돌봄 체계가 필요하다.

개인과 가족이 그리고 마을이 돌봄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코로나 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지자체와 정부의 역할이고 지역복지기관의 역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