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만 보면 이만한 효자가 또 있나 싶다.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당초 발행목표액을 조기 달성한 지역은 발행 연장을 요청할 정도다. 캐시백 혜택과 세액공제 등 소비자 입장에서도 마다할 이유가 없을 만큼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충남은 올해 발행 목표치를 반년 만에 조기 달성했고 세종 지역화폐 '여민전'도 7월분 150억원 어치 판매가 당일 12시간 만에 종료될 정도다.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 발행액이 지난달 말 1000억원을 돌파했다. 최대 15% 캐시백 혜택과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때문이지 입소문을 타고 가입자가 계속 증가 추세다. 충남 15개 시군의 올해 지역 화폐 발행목표액은 3328억원이다. 지역별로 천안이 555억 5500만 원으로 가장 많고, 서산(500억), 아산(460억 6400만원), 부여(431억 8400만원), 서천(233억원) 순이다. 그런데 6개월간 발행액이 이미 올해 목표를 넘어 4000억원에 육박할 정도다.

세종시 지역 화폐 '여민전'은 색다른 모델로 관심을 끈다. 여민전 상생플러스(+)로 소비자에게 2배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한 점이다. 가맹점에서 자체 5~10% 선할인하면 시는 선할인액을 제외한 총액의 10%이내 캐시백을 지원한다. 쉽게 말해 1만원상당 구매시 10%(1000원)를 선할인하고, 총 9000원을 소비자가 결제하면 시는 최대 900원의 캐시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소비자는 꿩 먹고 알 먹고인 셈이다.

지역화폐는 지역서 발행하고 그 지역서만 사용 가능하다. 자금 역외유출 방지와 상권 활성화는 물론 경제 선순환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도입할 명분과 가치는 충분하다. 다만 지방재정을 도외시하고 무한정 발행한다면 지자체 살림살이에 큰 부담이 될게 뻔하다. 지역화폐 3차 추경 국비 확보에 힘을 쏟고 지원 규모에 맞게 발행계획을 짜야 한다.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운영상 부작용은 없는지도 꼼꼼히 살펴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