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디스크’로 불리는 목과 허리디스크 질환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고 증상이 생기면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목과 허리에 생기는 디스크와 달리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등뼈에 생기는 흉추디스크다.

흉추디스크가 발생하는 곳이 가슴과 가깝다보니 갈비뼈나 내장기관 문제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은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등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성돼 있는데 뼈가 가장 많은 곳이 바로 흉추다.

흉추의 경우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적어 디스크(추간판)이 파열되는 경우가 적다.

때문에 흉추디스크 환자는 전체 디스크환자의 약 1% 수준이다.

흉추디스크는 격하게 몸을 움직이는 운동선수에서 발병할 확률이 높은데 주로 야구선수 중 투수의 경우 흉추디스크에 취약하다.

흉추디스크는 부위가 넓다보니 목 근처에서 발병하면 목디스크와 유사하고 허리근처에서 발병하면 허리디스크와 유사해 조기발견이 어렵다.

흉추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은 △등과 옆구리, 앞가슴이 저리고 통증 △속이 답답한 증상 △흉추의 상부 발병 시 팔과 등에 방사통이 발생 △흉추 하부 발병 시 다리저림과 당김 증상이 나타난다.

흉추디스크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 운동치료·물리치료·약물치료 등을 병행하며 경과를 지켜보다가 호전이 없을 시 수술적 방법을 택한다.

흉추는 척추관이 좁고 굵은 신경 줄기인 흉수가 있고 갈비뼈가 척추뼈마다 쌍을 이뤄 붙어 있을 경우 수술 시 접근이 까다롭다.

최근 흉추 디스크를 비교적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내시경 수술법이 추천된다.

전신 마취 없이 국소 마취를 통해 왼쪽이나 오른쪽 옆구리를 10㎜ 정도 절개해 내시경카메라와 수술장비를 삽입한다.

이후 화면을 보면서 탈출된 추간판을 제거하는데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는 것 보다 초고해상도 카메라로 병변 부위를 살필 수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하며 더 정확한 시술이 가능해 졌다.

수술 시간은 1시간 이내이며 절개도 10㎜ 미만이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고 수술부위 감염위험이 크게 줄일 수 있다.

대전우리병원 척추내시경센터 소장은 “흉추디스크는 과거에는 수술이 어렵고 까다로워 회복도 오래 걸리는 수술이었지만 최근 발전된 기술로 2주 이내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한 비교적 쉬운 치료법”이라며 “망설이지 말고 경험이 풍부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