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감염병 치료제 조기 상용화 추진, 바이오산업 원스톱지원체계 구축
실증사업 추가…공용연구시설 운영, 부가가치 효과 2160여억원 기대

[충남]두번의 고배 끝에 3차 지정 쾌거, 7개시·군 걸친 73.32㎢ 규모 운영
수소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등 추진, 2030년까지 매출 1조1500억 기대

사진 =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사진 = 규제자유특구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충청투데이 이인희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가 제3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관문을 나란히 넘었다.

6일 대전시와 충남도,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이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대전과 충남이 실증사업 추가 특구 및 3차 특구 지역으로 각각 지정됐다.

앞서 시는 지난 2차 특구를 통해 지정된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와 관련해 추가 실증사업인 ‘병원체자원 공용연구시설 구축·운영을 통한 백신·치료제 조기 상용화 실증사업’ 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그동안 1·2차 특구 지정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셨던 도 역시 이번 3차 특구 지정을 위해 ‘수소에너지 전환’ 규제자유특구 계획을 수립, 이번 3차 지정의 쾌거를 이뤘다.

우선 시의 경우 이번 실증사업 추가에 따라 백신·치료제 개발 분야 바이오 스타트업의 병원체 자원 공용연구시설을 제공하게 된다.

그동안 바이오 스타트업의 경우 병원체 연구를 통한 감염병 관련 백신, 치료제 등을 개발하려 해도 고위험병원체 취급시설의 공동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근거가 미비한 탓에 병원체 검사, 보유, 분양 등의 취급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했다.

사진 = 정세균 국무총리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 = 정세균 국무총리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실증사업을 통해 공동연구시설이 제공된다면 이를 통한 감염병 관련 백신, 치료제 개발 등 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또 진단 중심의 기존 인체유래물 공동은행 등 기존의 실증사업과 연계해 신속한 감염병 진단-백신·치료제 개발까지 바이오산업 전 주기에 걸친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시는 추가 실증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로 기업유치 30여개 사, 고용창출 2300여명, 부가가치 효과는 2160여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백신·치료제 개발의 거점화를 통해 대전이 바이오산업의 중심도시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삼수 끝에 특구 지정에 성공한 도는 천안과 보령, 논산, 당진, 공주, 홍성, 태안 등 7개 시·군에 걸친 73.32㎢ 면적의 특구를 운영하게 된다.

도는 이를 통해 2024년 6월까지 △가정용·건물용 수소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수소 충전시스템 △수소드론 장거리 비행 등 3대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주택·건물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확산을 위해 기존에 제한된 복합배기 분야를 허용받아 실증하고, 연료전지 계통 전환시스템을 통해 정전에도 비상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과 안전성, 기준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직접 수소 공급형 연료전지의 안전관리 방안 마련과 수소충전소 검사 장비 충전을 통한 충전소 경제성 확보 및 핵심부품 국산화, 이동식 기체·액화 수소 충전시스템 실증, 드론 파워팩·액화수소 용기 실증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특구에는 연료전지 4개사와 수소공급·충전 5개사, 수소드론 6개사, 정보통신 1개사, 연구기관 6개 등 모두 22개 기업·기관이 사업자로 참여하게 된다. 도는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매출 1조 1500억원과 고용 창출 6650명, 수소충전소 50개소 신설, 수소드론 3750대 보급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인희·조선교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