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내년 2월 통과여부 발표…막대한 예산에 체계적 접근 필요
기존 3·4세대 활용 극대화 해야

사진 =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사진 =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충북 청주 일원에 조성되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이하 가속기) 구축사업이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장기적 관점에서의 구축 운영 방안 수립이 강조되고 있다.

그간 국내 가속기 구축사업은 성공여부, 소요시간 예측 불확실성이 높은 핵심장치 연구개발이 동시에 추진돼 일정에 차질을 빚어온 만큼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안이 요구된다.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가속기 사업은 지난달 기술성평가를 통과해 예타 대상으로 선정되며 최종보고서가 이달 중순 예타 조사기관에 제출된다.

예타가 착수되면 통과 여부는 내년 2월 중순경 발표될 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가속기 구축 필요성은 지난해 국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확보 필요성이 부각되며 이를 위한 수단 중 하나로 제기돼 왔다.

하지만 방사광가속기 등과 같은 대형인프라는 구축·운영에 장기간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체계적·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속기 예타 조사기관인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하 KISTEP) 기술동향브리프에 따르면 국내 3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1988~1994)에 총 1500억원, 4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2011~2015)에 총 4038억원의 정부R&D 비용이 지원됐다.

3세대의 운영·업그레이드의 경우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25년간의 투자액은 무려 6685억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국내 가속기 사업이 예측 불확실성이 높은 핵심장치의 연구개발 과정을 건설 사업에 포함해 추진함으로써 사업 일정의 순연, 계획의 잦은 변경, 예산 이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했다며 해외사례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중국은 주요기술·장치의 사전연구개발을 추진하며 대형연구시설 구축 사업의 리스크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방사광 수요 충족, 기술자립화 등 현안의 빠른 해결을 위해서는 기존 구축된 3·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활용성 극대화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함선영 KISTEP 생명기초사업센터 부연구위원은 “해외 주요국 사례와 같이 최근 수립한 ‘대형가속기 장기로드맵 및 운영전략(안)’의 주기적인 관리·업데이트를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전략적으로 방사광가속기를 구축·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핵심 기술·장치 국산화를 장려함으로써 국내 가속기 관련 산업 발전과 국가 과학기술역량 제고에 기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