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현 대덕구청장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가 전 세계의 화두다.

코로나19(이하 코로나)는 임계점에 다다른 기후위기,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시스템의 붕괴와 약자들의 고통, 부정확한 정보 확산 등 많은 과제를 부여했다. 또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비대면 디지털경제 확대 등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실험과 치열한 논의들도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극복 후 세상은 새로운 사회질서를 맞게 될 것이다.

코로나 확산 같은 국가적 재난상황에선 전통적인 행정서비스의 한계를 절감하게 된다.

민선7기 반환점을 도는 이때 그간 추구해온 구정방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부합할 것인가 고민한다.

지난 5월에는 각 분야 전문가들을 모셔 ‘온택트(ontact) 집담회’를 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과제와 비전을 지역사회와 공유했다.

한편으로 감염병의 위력은 지역사회의 다각적인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웠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의 통제 가능성을 높이려면 지역의 보건·의료·복지체계와 정보망, 성숙한 시민의식과 공동체 연대정신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잘 맞물려 돌아가야 한다.

특히 주민들의 협업과 연대는 위기상황에서 더 빛을 발한다.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정책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재난상황에서 더욱 큰 고통에 직면하는 노인, 빈곤층, 장애인, 이주민, 일용직·비정규직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를 더욱 세심하게 살피기 위해서도 주민이 주축이 된 촘촘한 공동체망이 절실하다.

민선7기 대덕구는 풀뿌리 주민자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복원을 위해 노력해왔다.

주민 스스로 마을의제를 설정하고, 해결하는 생활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주민자치회를 올해 전체 동으로 확대한다.

지역에서 가교 역할을 할 공동체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 다함께돌봄센터, 도시재생지원센터, 노동자권리보호증진센터 등 다양한 중간조직을 설립했다.

지역경제 선순환 확립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골목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내에서 돈이 돌도록 대전시 최초로 발행한 지역화폐 대덕e로움이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가 지역 내에서 유통·소비되도록 ‘푸드플랜’을 추진하고 지역의 생태·문화자원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도록 하기 위해 공정·생태관광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코로나는 환경과 관련한 다양한 시사점도 던졌다. 기후변화와 산림 파괴, 생태계 교란으로 전에 없던 감염병이 출현하고, 그 위력도 커지고 있다. 또 코로나 대응을 위한 이동제한과 산업활동의 제약, 에너지소비 감소는 대기질과 생태계 회복을 가져왔다. 기후위기로 인한 타격은 전 세계적이며 사회적 약자가 더욱 크게 받는다는 점 또한 코로나 사태와 비슷하다.

코로나의 발생과 대응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보호의 가치가 부각되는 이유다.

구는 탄소배출 총량이 ‘0’으로 귀결되는 ‘넷제로(net-zero)’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환경정책을 시행중이다.

산업단지가 많은 대덕구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대전산업단지 내 미세먼지 차단 숲과 주민생활권 내 도시숲 조성에 힘쓰고 있다.

또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 에너지 특화마을을 조성하고 환경정책의 주민 공감대를 키우기 위해 전국 최초로 에너지카페 문을 열었다.

민선7기 후반기에도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적극 동참해 기후위기 대응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코로나는 사회시스템 취약층 곳곳에 균열을 냈다.

땜질로 균열을 막을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체질개선을 통해 ‘코로나 뉴노멀(new normal·새로운 표준)’을 준비할 때다.

또 다른 위기가 와도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키워야 한다.

우리는 일상을 뒤흔든 위기 속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시험대에 섰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