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대전발 코로나19(이하 코로나) 확진자가 빠른 속도로 100여명을 넘어서면서 지역 복지관들은 여전히 굳게 닫힌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28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지역 내 집단감염 확산으로 경로당과 복지관을 비롯한 복지시설 임시휴관을 연장했다.

 코로나 이후 무기한 휴관 기조를 이어오던 복지시설들은 연초 세웠던 사업 계획을 전면 취소하거나 중단했다.

 복지관의 경우 급식 시설 이용 중지로 독거노인에 대한 도시락 배달이나 긴급 돌봄이 필요한 대상에 대한 보호 등만 시행하고 있다.

 지역 종합복지관 관계자는 “현재는 장애아동 등 치료를 요하는 경우만 긴급 보육으로 10여명 정도 오고 있다”면서 “하반기에 준비하던 교육 프로그램들이 많은데 코로나가 다시 확산돼서 언제 복지관이 다시 운영될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문은 닫았지만 지역사회 취약계층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복지 서비스는 계속해야 되는 상황에서 지역 복지관들은 ‘복지 공백’을 메우기 위해 급히 새로운 비대면 프로그램 기획에 나서고 있다.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안하는 코로나 사태에 휴관 종료를 기대하는 것보다 비대면 사업을 확장하는 방향 전환이 현명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복지관들은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가 부족하고 이를 마련할 수 있는 예산 역시 전무한 상황이다.

 심지어 자원봉사자와 외부 강사도 기용하기 어려운 탓에 복지사들은 업무 과중으로 피로도가 축적되고 있다.

 울며 겨자 먹기로 없는 형편에도 비대면 프로그램을 준비하지만 직접적인 손길이 필요한 복지 대상자들 역시 보살펴야 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

 때문에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해 재난 시 복지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이경희 대전복지사협회장은 “갑작스러운 코로나 사태에서 정부나 지차제는 통제 위주 지침을 내리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복지시설은 사각지대에 빠질 수밖에 없다”며 “무조건 통제가 아니라 감염 예방이나 방역을 수행하면서 복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