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기술 등 자원 충분한데 기업과 연결 네트워크 부족
전문화된 플랫폼 활용… 전통산단과 가상기술교류 필요

[과학도시 대전, 진정한 '혁신'도시 되려면?]
上. 과학 관련 기관 유치…혁신 플랫폼 구축이 우선
中. 연구단지-산업단지 기업 연계 '열쇠'
下.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의 역할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과학도시 대전의 성장열쇠는 결국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에서 찾을 수 있다.

빅데이터, AI, IOT 등 미래 신기술이 전통방식의 산업단지에 적용돼 지역기업들의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대전은 산·학·연 코워킹 문화가 충분히 조성돼 있지 않다.

연축지구에 대덕특구 인프라와 연계·협력할 과학기관들이 이전한다 해도 이 부분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한 단순한 기관 유치만으로는 지역의 부가효과를 창출하기 어렵다.

그동안 중앙정부 예산으로 운영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비롯한 공공연구기관들은 국가적 관점의 연구활동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술 사업화와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 그밖에 다양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연구가 강조되는 등 정책환경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이러한 변화는 점차 지역혁신의 연결고리가 되고 지역기반의 혁신 거버넌스가 중요한 이유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구기관의 신기술이 비대면사회 흐름에 따른 디지털 전환에 맞춰 전통산업의 혁신 창출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디지털 혁신은 지역경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미래 의제일 수밖에 없다.

디지털 혁신생태계란 기존 산업생태계가 디지털 환경 기반으로 전환돼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까지도 관련 연구기관들이 AI, IOT, 빅데이터 등 기술개발에 주력했다면 이제는 그 기술들이 실제 산업현장에 어떤 식으로 적용될 지가 관건이다.

이는 4차산업혁명특별시를 표방하는 대전의 숙제이기도 하다.

가상기술 등 지역자원은 충분하지만 기술을 기업에 연결한 네트워크는 물론 기술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기업 역시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대전이 지속적인 혁신성장을 꾀하려면 전문화된 플랫폼 활용으로 전통산업단지에 가상의 기술교류가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가 R&D예산 대부분이 소요되는 대전의 미래 혁신성장은 결국 연구단지와 산업단지의 물리적 교류 그 이상의 가상화된 교류가 더욱 활성화 돼야 한다.

물론 지역산업 전반의 스마트화 촉진을 위해선 업종·산업·업태별 경제통계 등 지역 경제현황의 상세한 데이터 축적이 근본이 된다. 축적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지역특성이 반영된 정책과 사업이 구상돼야 하지만 현재는 디지털 전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 자체가 마련돼 있지 않다. 황혜란 대전세종연구원 과학기술정책학 박사는 “언택트 트렌드가 확산되며 4차산업혁명 기술을 비롯한 디지털 전환의 경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전 전통 산업부문의 기업들도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성장분야로의 전환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지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