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 지 3주가 지났지만 원구성이 미뤄지는 등 파행을 겪고 있다. 개원식이 늦어지면서 의원들은 선서조차 아직 못하고 있다. 임기 초반부터 '일하는 국회'상은 찾아볼 수 없다. 역대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20대 국회와 별반 다를 게 없다. 제3차 추가경정예산 심의를 비롯해 코로나19 사태 대응, 남북관계 등 처리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 하루하루 고통 속에 살아가는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건가.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15일 미래통합당 불참 속에 최대 쟁점인 법제사법위원장 등 6개 상임위원장 선출을 강행하자 미래통합당이 법사위원장 선출 철회를 요구하며 일체의 협상을 거부하고 있다. 법사위원장은 원내 제2당이 맡는 것이 관례라며 한 치도 물러서지 않는 모습이다. 17대 국회부터 법사위원장은 야당의 몫이었다. 여기에는 여당 견제라는 의미가 함축돼 있다. 여야 합의하에 상임위원장을 선출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원 구성 관행이 깨졌지만 통합당의 주장대로 이제 와서 없었던 일로 되돌리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실적인 출구를 모색해야 한다. 언제까지 강대강 대치만을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통합당은 협상테이블에 나가 실리를 찾아야 한다. 민주당도 통합당이 복귀할 명분을 줘야 한다. 상임위원장 싹쓸이를 거론하며 최후통첩 하듯 통합당을 압박하는 건 거대여당의 폭주로 비칠 수 있다. 주도권을 쥔 여당이 먼저 포용하는 모습으로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었으면 한다.

힘겨루기 할 시간이 없다. 지난 4일 정부가 제출한 35조3000억원의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은 심의착수도 못하고 묶여있다. 코로나19 재확산 방지, 경제활성화, 북한 도발 등 촌각을 다투는 현안이 한둘이 아니다. 민주당이 어제 통합당에 원구성 협상 복귀를 촉구한 걸 보면 오늘이 원구성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야는 무엇이 국민을 위한 길인지 이제 대승적이고도 현명한 결단을 내려야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