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이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대거 발생해 농가피해가 막심하다. 빠른 확산속도에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 위기 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단계로 상향조정하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주로 사과나 배나무에 피해를 주는 국가검역병이다. 화상병에 걸린 나무는 불에 그슬린 것처럼 말라 죽는다. 아직 확실한 퇴치 방법이 없어 감염된 나무를 땅에 파묻는 게 고작이다.

2015년 국내 첫 발생 이래 매년 화상병 피해가 느는 추세다. 충북지역에 화상병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올 들어 이미 충주 67개 농장을 비롯해 제천 7개, 음성 1개 농장이 화상병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게다가 200여건의 화상병 의심신고가 접수돼 농민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지난해에는 충북지역 145 농가에 화상병이 발병해 90㏊에 달하는 과수원이 피해를 입었다. 사과 주산지인 충주와 제천지역의 피해가 크다.

과수화상병이 발생하는 원인이나 감염경로 파악이 안 돼 농가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화상병을 막을 치료제가 없다보니 폐원하는 과수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감염된 나무를 매몰해야하는 농민들의 심정이야 오죽하겠는가. 현재로선 예찰활동을 강화하는 게 그나마 최선의 대책이다. 행여 폐원을 우려한 나머지 화상병 발병 사실을 숨기거나 지연 신고하는 일은 없어야겠다. 이는 화상병 확산을 부추기는 거나 마찬가지다. 피해농가에 적절한 지원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선제적 방역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화상병 대책상황실을 발생 인접 시·군으로 확대해 설치키로 한 건 적기 대응을 위해서다. 화상병이 발생한 뒤에 부산을 떨기보다는 미리 대처해야 한다. 무엇보다 방제기술 개발이 급선무다. 화상병과 관련해서는 세계적으로 방제기술이나 방제약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화상병 방제기술을 먼저 내놓는다면 원천기술 확보와 함께 외화획득에도 큰 보탬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