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고용노동부, 경제단체, 노동단체, 기업 대표들이 어제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고용유지 상생 협약식'을 가졌다. 코로나19 확산이 불러온 지역 일자리 위기에 공동대응하기 위해 함께한 것으로 시의적절하다. 대전시는 경제단체에 속해 있는 500여개 회원사와 협약을 맺고, 이후 일반 500여개 기업과 추가 협약을 체결한다는 계획이다. 참여기업은 협약 기간 중 고용을 유지해야한다니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런 기업들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영난에 빠진 기업들이 자구책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수많은 직원들이 직장을 떠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어제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결과를 보면 참담하다. 지난달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국내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 수가 1822만4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무려 36만5000명이나 줄어든 것이다. 종사자 수가 줄어든 건 고용 부문 통계를 시작한 2009년 6월 이후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라고 한다.

코로나19발(發) 고용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알리는 경고음이다. 비상경제 상황에서는 불안정한 직업군의 피해가 훨씬 크다. 상용직은 작년 동월보다 13만3000명 감소한 데 반해 임시·일용직은 14만4000명이나 줄었다. 일정한 급여 없이 수수료 등에 의존하는 기타 종사자도 8만7000명이나 감소했다. 고용충격이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통계다. 감원대상이 저임금 근로자와 같은 특정 직업군에 몰려서는 곤란하다.

이럴 때 일수록 고용유지를 위해 힘을 모으지 않으면 안 된다. 기업 나름의 사정은 있겠으나 구조조정은 최후의 선택지가 돼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기업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내야 한다. 고용유지 상생협약식은 대전시가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 위기를 극복하고자 솔선하는 모습이 읽힌다. 상생협약 사례가 타지자체에 퍼져 고용안정에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