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택열 대전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

주소. 일반 시민들이 흔히들 생각하는 주소라는 개념은 ‘사람이 살거나 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곳’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주소의 사전적 의미 또한 사람의 실질적인 생활의 근거가 되는 장소, 법인인 경우에는 주된 사무소나 본점을 이른다고 돼 있어 상식적으로 주소에 대한 개념은 그동안에는 한정적, 제한적인 개념으로 사용돼 왔다.

대한민국 주소의 역사는 1910년 일제가 식민통치와 조세징수의 목적으로 실시한 토지조사사업에 따라 토지에 부여된 지번을 주소로 사용한 이후 100년 넘게 공법상 주소로 사용을 해왔다.

하지만 위치 찾기 편의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돼 2014년에 도로명+건물번호로 이루어진 도로명주소를 도입하면서 기존 토지 중심에서 건물 중심으로 주소 체계를 개편했다.

그렇지만 현재의 주소체계는 평면상 도로명과 건물번호 기반 체계로 구성돼 있어 초연결과 초지능을 특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변화 속에서 3차원 및 입체주소 표현에는 한계가 있고 주소(위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 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소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는 주소의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단순한 위치 표시에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을, 주소의 개념적 변화는 기존 물류 Infra(정적)에서 초연결사회 Infra(동적)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초연결사회에서 보다 정교하고 광범위한 전 국토의 종합적인 주소체계 구현을 위해 대전시는 타시도보다 선도적으로 주소(위치) 부여 대상을 사물(Things)로 확장하는 사물주소를 도입했다.

사물주소(AoT, Address of Things)란 기존 주소의 개념인 사람의 거소나 법인의 소재지에서 모든 사물의 위치 식별자로 주소의 정의를 확대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시에서는 시민들의 긴급구조를 위해 필요로 하는 지역, 시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필요로 하는 장소 등 351개소에 사물주소를 부여했다.

육교승강기(78개소), 둔치주차장(6개소), 지진옥외대피장소(133개소), 택시 승강장(134개소)에 도로명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주소를 부여하여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구축된 사물 주소는 사물주소판을 부착하여 재난이나 위급 상황 시 시민들이 신속하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국가주소정보시스템에 전자지도를 구축해 시민들에게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에서 사물주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물주소를 제공하고 있다.

사물주소는 우리 앞에 있는 모든 것들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앞으로 대전시에서는 사물주소의 부여를 위해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사물이나 장소 중 주소가 필요한 부분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사물주소를 부여할 예정이다.

인공지능과 초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 시기에 사물주소는 기존의 주소로 표시할 수 없는 모든 위치에 대한 주소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드론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봇 등과 같은 첨단기술과 결합하여 미래의 신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어 앞으로 사물주소의 무한 변신은 계속될 전망이다.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대전이 인간에게 유익한 사물주소의 무한변신을 앞장서 이끌어 갈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