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보다 더할 것이라는 한 민간 연구기관의 전망은 충격적이다. 고용절벽이 올수 있다는 경고에 다름 아니다. 고용시장의 악화는 예상했으나 외환위기 때보다 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 건 처음이다. 코로나 위기가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전 국민의 관심사다. 직장인들이 길거리로 나앉던 1997년 외환위기 당시의 악몽이 떠오른다. 고용 충격을 흡수할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코로나 사태 이후 월별 취업자 수는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난달 국내 취업자 수는 2650만 명으로, 2월의 2752만 명보다 102만 명이나 감소했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어제 발표한 '코로나 위기와 4월 고용동향' 보고서에서다. 2월은 코로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기기 직전이다.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하면 고용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이 간다. 1997년 12월 취업자 수는 2122만 명이었는데 2개월 만인 1998년 2월에는 2030만 명으로 92만 명이 줄었다. 외환이기 때의 감소인원을 넘어선 셈이다.

노동사회연구소는 외환위기 14개월 동안 취업자 수가 160만 명 감소했는데, 코로나로 인한 취업자 감소폭은 이를 넘어설 것 이란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조짐은 산업현장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대기업들은 신규채용 계획을 거둬들이거나 연기하고 있다. 인력을 뽑기는커녕 있는 인원도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상황은 대기업보다 훨씬 열악하다. 심지어 아르바이트 일자리마저 얻기 힘들다는 얘기가 나온다.

일자리 상실은 취약계층에 먼저 불어 닥친다. 감소한 102만개의 일자리를 성별로 보면 아니나 다를까 여성이 62만 명, 남성이 40만 명으로 여성이 22만 명이나 많다. 또 임시직이 45만 명 줄어 감소폭이 가장 높았다. 여성, 임시직, 일용직, 단순 노무직 등 취약계층을 배려해야 함에도 오히려 반대다. 이러니 우리 사회의 불평등이 심화하는 것이다. 외환위기가 남긴 상흔은 아직도 아물지 않았다. 반면교사로 삼아 특단의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