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착한가격업소(착한업소)가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착한업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로서는 아쉬움이 크다고 하겠다. 대전시 관내 착한업소는 2015년 320개로 정점을 찍은 뒤 2016년 310개, 2017년 293개, 2018년 289개, 지난해는 280개소로 줄었다. 지난 4년간 40개 업소가 줄었으니 해마다 평균 10개 업소가 줄어든 셈이다. 착한업소의 취지를 감안하면 응당 늘어야함에도 줄어든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터다.

착한업소는 행정자치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우수 물가안정 모범업소다. 주로 외식업, 이·미용업, 세탁업 등 개인서비스업종에 착한업소가 많다. 착한업소로 지정받기위해서는 까다로운 조건을 통과해야 한다. 가격동결, 청결한 운영, 양질의 서비스 같은 것들이다. 착한업소 중에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고객을 끌어 모으는 업소가 꽤 있다. 이윤을 남기고자 편법을 동원하기보다 원가절감 등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것이다.

착한업소가 많을수록 소비자들에게는 이익이다. 가격도 알맞고, 서비스도 좋으면 소비자들이 찾아가기 마련이다. 가격을 올리고 싶어도 그러질 못한다는 착한업소 주인의 하소연을 들은 적이 있다. 이런 업주들이 많이 있을 줄 안다. 반면 경영악화를 버티지 못하고 착한업소 간판을 내려놓는 곳도 있다. 자선사업가가 아닌 이상 손해를 보면서 장기간 업소를 유지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대전지역의 착한업소가 왜 줄어들고 있는지 여기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인센티브를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착한업소에 대한 혜택이 별로인 모양이다. 자치구마다 실정은 다르나 쓰레기종량제봉투 지원 정도에 그치는 곳도 있다하니 실질적 지원을 강구했으면 한다. 물론 모든 업주들이 지원을 바라고 착한업소를 운영하는 건 아니겠지만 물가안정과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제주시의 경우 현재 102개소의 착한업소가 운영 중인데 올해 120여 곳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줄어들고 있는 대전시와 비교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