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사업체 열에 일곱이 5년을 못 버티고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장기화로 지역경제가 크게 위축돼 휴·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2018년 폐업한 대전지역 일반사업체 중 73%가 창업 5년내에 사업을 접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부동산업, 도·소매업, 음식점·숙박업부문은 창업도 많지만 폐업도 심각하다. 대부분 사업부진이 주원인이다.

국세청 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해동안 대전지역 일반사업자 중 1만 3249명이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해 신규사업자(창업)는 3만 3585명으로 2015년부터 4년 연속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역설적으로 고용환경이 악화돼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창업에 나섰다고 본다면 지역경기가 좋지 않았다는 지표일 수 있다. 최근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가 코로나 영향으로 12년만에 최하로 떨어졌다는 소식 또한 영세사업자에겐 악재다.

700만명이 넘는 베이비부머(55~63년생)세대의 대량 퇴직이 진행 중이다. 변변한 노후대책이나 인생 2막을 준비하지 못한채 은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퇴직 후에도 노부모 부양과 자녀교육비를 부담해야 하니 모험의 세계로 갈 수밖에 없다. 청년백수가 넘치는 판에 50~60대가 새 직장을 구한다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어쩔수 없이 가능한 자산을 긁어모아 창업에 올인하지만 시장상황이 녹록지 않다. 자칫 결과가 신통치 않으면 평생 갚아야할 무거운 짐만 남게 된다는 사실이다.

서비스업 프랜차이즈부문이 과포화상태다. 우리나라 소상공 자영업자 비율은 미국의 4배고 OECD국가 평균의 2배를 웃돈다. 한해살이 창업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1년도 안돼 문을 닫는 경우도 수두룩하다. 코로나 후유증으로 고용상황이 불안해지면 또 많은 사람들이 불가피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고용유지가 중요한 이유다. 정부는 단순한 창업자금 지원에 그칠게 아니라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