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위자 대폭 늘었는데 일자리 제자리… 근로소득도 적어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위해 '박사후 연구원' 지원 절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책임자급의 성장단계인 ‘박사후연구원(Post-Doc)’에 대한 지원책 마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22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은 국가연구력의 허리이자 핵심이 될 박사후연구원에 대한 처우개선 및 국가차원의 관리 혁신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박사후연구원은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독립된 연구자로 정착하기까지의 추가적인 교육훈련 과정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문제는 과학기술 역량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이들 인적자원에 대한 지원 및 노동시장 여건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주요국 중 박사학위자 증가는 가장 빠른 반면 민간 부문 진출 비중은 낮아 일자리 경쟁은 매우 치열한 편이다. 실제 이공계열의 신규 박사는 총 8178명(2018년 기준)으로 5076명이 학업전념박사며, 학위 취득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경력을 시작하는 이공계 박사는 학업전념박사의 절반에 가까운 2300여명 규모다. STEPI는 이중 학위 취득 시점에서 약 39%, 1년 6개월에서 2년경과 후에도 약 27%의 박사후연구원이박사과정 지도교수의 연구실에 계속 머무는 것으로 분석했다.

2000년대 이후 박사 배출은 정부의 지원으로 대폭 증가했으나 학계 일자리 증가는 이에 미치지 못해 신규 박사의 취업 조건이 갈수록 열악해 지고 있는 것이다. 박사후연구원의 평균 근로소득은 3000만~4000만원 구간이 전체의 1/3 이상이며, 3000만원 미만도 약 30% 수준이다.

한 2년차 이공계열 박사후연구원은 “현재 지도교수 연구실에서 훈련 받으며 정부출연연구기관 취업을 준비 중인데, 박사 취득자는 해마다 늘고 있는데 비해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업이 보다 다양한 수요에 따라 △직업 안정성 제고 △인건비 현실화 △연구 역량 심화 지원 등 다각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박사후연구원들의 지도와 훈련 등 멘토에 대한 책임성 강화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선진사례를 보면 미국의 경우 2000년대 이후 박사후연구원이 포함된 연구과제에서 멘토링 계획 및 실적 평가를 강화하고 있다.

박기범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박사후연구원은 이미 학계 지향성이 매우 강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산학협력 활동은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박사과정에서부터 학위 취득 이후의 진로 다양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직업의 안정성 제고와 인건비 현실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