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 이후 충청권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로 단연 공공기관 유치가 떠오른다. 국회의원 당선자들이 하나같이 공공기관 유치를 공약으로 내건 만큼 시민들의 반응도 뜨겁다. 대전·충남 혁신도시에 어떤 공공기관을 유치하느냐는 지역발전과 직결되는 사안이다. 대전·충남에 혁신도시를 지정할 수 있는 근거 법안인 '국가균형발전특별법(균특법)개정안'의 국회통과를 위해 지난 1년간 그토록 공을 들인 까닭이다.

정부는 수도권의 주요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2차 공공기관 이전'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현재 이전 대상 공공기관 200여개를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공공기관은 혁신도시에 입주한다. 혁신도시가 없어 그동안 공공기관을 유치하지 못한 대전·충남은 균특법 국회통과로 장벽을 해소했다. 대전은 원도심을 중심으로, 충남은 내포신도시 내 혁신도시 유치를 구상하고 있다. 대전 원도심에 혁신도시를 유치하면 답보상태인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내포신도시도 마찬가지다.

관건은 대전·충남 혁신도시에 과연 몇 곳의 공공기관을 유치하느냐다. 여러 개의 공공기관 유치와 함께 규모가 큰 알짜배기 공공기관 유치에 진력해야 한다. 양질의 공공기관을 다수 유치하자는 거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합동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전국을 다녀보면 제일 절실하게 요구하는 것이 공공기관 지방이전"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자체마다 공공기관 유치에 얼마나 눈독을 들이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대전·충남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공략해야 한다. 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관되는 기관을 유치하면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전은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충남은 해양·에너지산업 등을 꼽을 수 있겠다. '1기 혁신도시'의 성과에서 '2기 혁신도시'의 발전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정주인구가 20만 명을 넘었다고 한다. 이전 공공기관은 지역학생을 최대 30%까지 의무적으로 채용토록 하고 있다. 공공기관 유치에 따른 혜택이 자못 크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