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등 감염병 지속 발생
연구기관간 연대 필요성 커져
시스템 부재… 현실은 '제각각’
전문가 “제도적 장벽이 문제”
협력적 문제해결 전환 강조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들이 코로나19(이하 코로나) 등 감염병 사태로 협력체계가 강조되고 있지만 시스템 부재로 각자도생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신종질병, 미세먼지, 재난 안전 등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선 기존의 연구 경쟁 체제에서 벗어나 연구기관 간 제도적 장벽을 무너뜨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14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는 보고서를 통해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협력 중심의 공공연구기관 운영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코로나 등 신종 감염병 사태가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등 전례 없는 다양한 분야의 사회문제가 잇따르지만 국내 공공연구기관의 운영관리체계 및 제도는 여전히 경쟁적이고 경직적인 시스템에 머물고 있다.

특히 대부분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이 밀집해 있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는 융합연구를 위한 연구기관 간 협력적 문제해결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덕특구 내 한 출연연 기관장은 “공공연구기관 연구자들은 기관에 주어지는 예산에 한해, 기관 성격에 맞는 연구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코로나와 같은 긴급한 현안이 발생될 시 다양한 연구기관들이 한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관리 체계가 현재는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는 공공연구기관들이 유사 분야에서 각기 독립적으로 연구개발활동을 추진하고, 경쟁 위주의 지원 정책으로 안정적인 연구비 지원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

정부출연연과 국립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이 각각 개별적이고 분리된 역할과 연구를 수행하며 공공문제 해결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과도한 경쟁체제 적용 역시 연구활동의 특수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어 공공연구기관의 연구환경은 개방성과 유연성이 낮고 협력활동 및 협력문화 수준이 부족하다.

이에 전문가들은 공공연구기관의 관리정책 변화를 시사하며 개별적 연구경쟁시스템에서 협력적 문제해결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다.

공공연구기관이 자율적 협의회를 구성하고 전체 현황, 경영자료 등 관리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단기적 해결방법으로 꼽힌다.

보고서 저자인 이민형 선임연구위원은 “기존 경계를 넘어 지식이 융합되는 초융합화 시대에는 과거와는 다르게 새로운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복잡성도 높아지고 있다”며 “이러한 공공문제 해결을 위해 개별적 연구경쟁시스템에서 협력적 문제해결시스템으로의 관리시스템 전환 등 혁신적 공공 R&D 역할 및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